Why don't we take a short Rest ? Cho Eun-chu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studio 작성일16-09-17 15:43 조회2,04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BUSAN MUSEUM OF MODERN ART | DUKKI KIM
Why don't we take a short Rest ?
Cho Eun-chung, curator
Our accustomed daily life, take a short break.
Our contemporaries are striving hard to live better aiming at advanced high technology. The criterion of going in advance is the speed. As the coming into wide use of KTX, the number of train stop has been decreased. A great speed makes to lose our visual comfort by not much paying attention to the scenic view. Windows of the buildings are getting less and less, even if it is wide, it adopts tightly sealed system that shuts to the air. Such environment leads life of the ordinary people monotonous. People are also strives to pace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get accustomed to it. If we go unfamiliar place we would take a good look to remember the route. When we quite experienced in such things, getting fast from the first slowness, we would be indifferent to the surroundings. In this way, we might have forgotten the recess for the reason of the routine way of living.
On TV program, , there has ever been introduced every day life of up-country girl. Except the 20 minutes for studying, everything in her schedule, that she has made it specially before the vacation, is watching TV and play time. The TV producer asked to her, "Why do you have study hours only for 20 minutes?" There is no wonder, when she answered, "It's enough."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fun, it is naturally enough for her 20 minutes studying unlike other kids. Shall we make own schedule like this girl, students on vacation? What is the most precious part of the day? ... Don't we have even treated the authorized hours of sleep as a rest for the life of tomorrow? Tied to the timetable can be the only way of the rest? Everyone needs recess. Our contemporaries are, however, troubled with silent pressure when they take a rest for they might have left behind. Recess is the essential part of life. The Turning of the season also needs a pause. It gives some amount of time to get accustomed the change. We, therefore, need to look back on our way, making a halt right here, not spent our whole life in pursuit of going advance.
A Whistle Stop refers to take a rest from the everyday life. In small station, there is no crew, it just stop in moving direction. It does not force every passing train to stop. Some might pass through, some might stop. In modern society, high speed being the most competitive power, you may think that kind of place is against all the spirit of the time. The place and time of quick stop allows the passengers to look around surroundings and to rest.
A Whistle Stop is the rest place for a while. It is not here and there, but exists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place. This is the place of coming contact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present and the future, going against the time and staying with the present. In this exhibition, a Small Station has the meaning of putting together the physical space- park, rest area, home, coach - and the emotional space- family, dream, rest, derivation of the reality through the imagination. A small station, there is no control of something, no one governed by it. Likewise the moving train, let's have a small stop with the help of the will from which we are free others in this show.
A comma gives a short pause in sentence. There is the moment of 'some pause' in our life. It is the time when we have a spare time, a moment of the dreaming, unconsciously take a look something. Let's have a look at our life in this visualized space through the captured images.
This exhibition intends to careful look into the deliberated pieces of everyday life, which we do not live in it, or rather it regulates us, search for the place and the time of 'recess' like comma in sentence, because we are not the moving existence. What is the time and place of taking a rest in daily life? Usual way of the recess might be taking a walk, having a tea time, relaxing the legs sitting on a bench. To say nothing of general concept of work, there, however, are some artworks that make the viewers to reconsider the recess through the moment of the most uncomfortable. We can have a time to think to ourselves and get some relaxing space where people are available for the exhausted body and the hectic mind in the appreciation for the illuminated. The artists shows the recess presenting sentimental and physical space such as generally perceived sentimental space in everyday, private space and social relaxing place as though people checks the holidays in calender dreaming of the recess, and gives recess from the mind by unconscious scrawl of everyday life. How about looking back 'the routine day' and finding a place for 'Recess' through 6 artists who illuminates every day affairs? Like a famous copy, "It is O.K to turn off your cell phone", let's escape from the routine, recover your composure by contemplating of other's daily happening!
Voyeuristic Way of Seeing - Try to look into ourselves through the others
It is probably an advertisement to show exactly what the modern society is. Let's consider the chocolate pie advertisement whose main concept is the korean affection. This series of advertisement has aroused sympathy of the whole community appealing to humanistic sentiment. The main theme is the everyday affairs. It tells about the everyday happenings: the day of moving, a flagman at the crossing, a postman, a summer lookout shed, on the way to school. There is a tread of connections between films and art in the fact that they deals with the everyday happenings and human story as a subject matter is getting common. As the concern about everyday based on 'we' it become intimately acquainted. Commercial advertisements whose consumers are the mass would like to deal with the everyday life, the homelike and the unartificial, because it has a common ground of 'our experience'.
Artwork deals with everyday life as subjects enables people to have a better communication. It is not unusual to take an interest in daily life. With the social changes - to achieve independence from Spain, Calvinism, Individualism etc. - there had been a concern about the world of "self- oriented" in 17C Netherlands. In Chosun period a genre painting that illuminates life of the ordinary had been popular due to the tendency towards moder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humanism. At this time, there has been various attempts to deal with daily life to share a common with the mass. It has, therefore, been found that we, altogether you and me, have in common in their stories that does not need to add up and take away from reality, because it has based on the real world where we live.
The main focus of this exhibition is everyday life. It is the everyday life that always surrounds us in every aspect like the air, but it can not see clearly. What we see here is the everyday life of the others: everyday life of the artist, the whole neighbourhood and what the artist has observed, felt. To see the others everyday life means try to look into objectively, in other words, voyeuristic view. As John A. Walker said in , "What the eyes have observed is able to translate into the behaviour of the body, where visual image has been constructed and organized using the tool of media and libraries. Experiential observation of the artists may deepen by history and personality of the time, practi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history.", Experiential observation and visual construction encourage the viewers to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on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t is the prompt understanding of seeing the image, not the process of reading letters, figuring a situation and then reviewing the meaning. As we remind our experiences while watching TV dramas and movies, we can also experience the acting of others and substitute feeling through the pictures.
Our daily life develops into the interrelationship that connects me and others. Family is the most intimate group among them. Our mixed feeling about family has both the general and the special. During the course of individualization in modern society it has emerged the family-oriented phenomenon. There is where individualism overlaps with familism in particular, unlike a large family system. Familism can be explained as a homogeneous group that gives a relieved feeling in the process of isolated living in modern society. Kim Dukki visualizes such phenomenon of familism. He records warm hearted family story that is his story; at the same time, ours. His paintings accompany with letters. It does not live together in canvas, but exists in extra elements. It gives, nevertheless, visual promptness and comprehension of the text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sympathy.
His work unfolds several series of and . He presents the journey of life looking at the daily in direct, light and cheerful way. In his work life seems delightful. As if we take a walk along the path we feel placidity in his work. He employs such methodology : at first, make the base colour, put another before it dries, and then the base colour will come out; using a variety of material like pastel, crayon and ink-stick; put these material on traditional korean paper. His methodology implies that where we live now does not stand for just one place, but the overlapped time, the past and the future, that can make the present. His work, illustrates the valuable moment of family on restricted space of canvas. He depicts a gap between the passage of time and the memory through the overlapped figures and by a difference of the darkness and the brightness. His work is a kind of travel sketch which conveys the memoir and culture of family in each season.
Family can be altogether in the house. Whereas house refers the image of outward appearance, home is emphasized the emotional aspect. Doesn't it mean that two concept, external appearance and emotion of the family members, are combined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For this reason his series has the powerful meaning of home.
Several houses that are standing against each other are distinguished features in his paintings. His town formed into a house to house assumes a jungle gym, a kind of kids sports facility. People are happy there. Their happiness seems, however, too risky as they might fallen down on the jungle gym that usually gives them so much pleasure.
Flowers are a messenger of love and a medium of memoir in his work. He delivers some flowers to his wife, who is the great pleasure of life and the subject of love. In his joyfulness canvas, be full of "good health laugh, vitality, cheerfulness" there is no discord in everyday life. His work looks like the best example of the family matter. His family story seems the ending of fairy tales, "They lived happily forever."
Hong Insook features the memory of her family through family-self-portrait. Her fragmentary memories and personal stuffs connected with family remind the viewers memoir and association of their family. Filing up with lines and colors on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her working process is reminiscent of memories. Layered paper, putting more lines and color into prints, memoirs of family are the same. Marginal space of the canvas produces an echo.
Like her saying, "I wish people were uncomfortable looking at my painting in showing room.", reminding of his or her old times and displaying personal story might be uneasy. As if we read the old times unfolding the photo album, her painting make the viewers to recall her mind.
Flowers are appeared in her painting. The objects which has recognized under the tradition and the experience actually have a system that has the symbolic meaning. Flowers are always a big welcome. But they have a set of rules according to the occasion : carnations on Teachers Day or Parents Day in a token of thanks; chrysanthemum express the sorrow over the death; roses for the love confession, it depends on the situation. Peony and chrysanthemum is the symbol of family memoir.
Her story starts with peony. Wearing a white dress she is weeping secretly with holding her hands. In , she refers home as a memoir of the family. Her story, therefore, ruminates how she lives. She goes back to the past through peony. Her calm weeping represents she endures sorrow in her mind so that it seems more painful. Peony,... old picture frame inlaid of pearl- it was originally not picture frame. The old flapped door from which it comes the furniture of her mother's wedding ceremony encloses weeping her. In this painting, picture frame refers her mother and the time with her.
Started with peony as a guide, she goes back to the childhood days. Father is carrying his little daughter, she is holding a peony. Though peony traditionally means wealth and prosperity, it works as a medium to recall the memoir of the family and connect her to the past. For grand mother it was a thankful flower to support her children; it enable her to feel granny.
我父地 is pronounced in ABuJi, it refers a father. She transcribes it 我父地, an organized word. A alphabet painting describes the meaning of letters borrowed a form of painting, whereas her alphabet painting add meaning to it by loaning some letters. shows relationship of the family. Father, his first child, 'I', who is also the first sister to brothers, has been becoming a living source of life and the earth, which is the origin of life. This is the picture of living family tree which draw a real question about the origin of it.
I live with my father, who gave me life. My father is dependent on 'me', who had a first birthday party held in his arm, because I am all grown up. Daddy and I are riding a rocking horse. He fixes his eyes on the front, where have to go, holding a gripe in his one hand, a stick in another hand. She holds tightly daddy's side leaning against his back, but she supports him with smiling. Her smile does not look bright. The spring parts that hold out the rocking horse seems so unreliable. Does life seem so far away. I am not independent by myself, nor father be alone. Old father and grown up daughter, she does not a little baby any more now, but his companion.
The eldest sister, who rode a horse with daddy before, cries by herself. There is a white mum, a crying woman whose body is drooped with white ribbon on head. Yellow mum that she prayed for father's get well substitutes to white one. White mum and ribbon designate death. For her father has departed at last, she sobbed her heart out at this time. She weeps bitterly. Old depressed feeling sweeps away in her crying. And, again she is sobbing with her head drooped. If you followed the flow of tear, you can find a letter that made of white mum. Tears make white mum, white mums make a letter that signifies tear. Once more, letters remind the meaning. Blowing up the tears in a letter, her sorrow was at anchor. White bird weeping tears of blood signifies her quiet deep sorrow. White mum in candlestick, the white bird that was staying in the letter bites a white mum ,and then it is flying over the candlestick. The white mum made of my tears, it will be ever in my memory.
Park Youngsun set a new time by reorganizing specific events and every routine day of our neighborhood. Her way of seeing is always settled. She steals a look the others's daily life at the fixed location. Her way of seeing is voyeuristic. She looks into the others's life so that it belongs to her. She draws specific objects and surroundings with a contemplating view and sets a behaviour range. More synchronic, repetitive monitor, created by flash animation than fragmented images uncovers our daily life and gives something "unusual" meaning that may be "nothing special".
The artist stares at others life, and we look at the orchestrated others. Her depicted world is full of private stories. The selected, concrete images are adapted to some pieces of short story by her. Reading others's life needs an objective view.
Her way of staring points at the our neighborhood.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see the leaning against wall to wall, the houses with low leveled stone wall. The walls are getting higher and various security system has been established. We have minimized to contact with others in apartment building, though it does not have wall at all, like square box. Even though we are stil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 attempt to take down the walls so as to have a better communication, a public faith. In the course of this attempt her figures depicted neighborhood with simple lines look so striking and friendly.
is the story about her house and the surroundings. In the same place the stories are unfolding as to suitable for the time of year. In view of the looking at others, the artist and we are at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The artist, however, has two different stand point: he wants to intervening in order to lead the situation; only look at it. Figures on arranged monitor continuously transfer the view point of our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movement the viewers's moving view point can see their daily life. What we see the animated monitor is not like reading letters; it makes impossible to pause a while for reviewing, because the seers become passive as to the characters. It includes spacing monitor, condensing some amount of time, transferring the place and viewpoint, synchronizing plural narratives. Looking at this point, what we see the animated monitor needs a lot of active mental labour. (John A. walker Sahra parker, translated Limsan, Visual Culture, Rubybox, 2004 p.206)
People appeared in do not care about each other. They just pay attention on their business. From time to time there is a stealing glance at the passing girl, most people are working hard in their sector. Objects appeared on this do not care others either. In , people are weeding and the dog is busy on his business. As often we imagine that such things, the dog running after the owner or the butterfly, never happen to there. In this case, butterfly just flaps it's wings, it never flutter flower to flower. Even though the behaviour of characters are lasting, such things-weeding, flapping, dog's walking- are repetitive. is just alike. Digging and moving the dirt, blown away the dead leaves are over and over again.
Soecheon construction site is in the middle of developing a new town. This is the place where so many wild animals were lived in hill at one time. By the way, they might expelled from their grounds. Human beings attempts for better life will be a threaten to other species. We may wonder this is what really we are.
Park Youngsun and Lee Youngbin have in common that they depict daily life in a bird eye view. While Park Youngsun focuses others's daily life on the time of the year in the same place, Lee Youngbin depicts where he lives from various standpoint. Whereas Park Youngsun illuminates the exterior of our neighborhood, Lee Youngbin depicts inner space of the public site.
Absorbed in the inner space means that the spiritual has been his concern, and his work focused on the inner thing starts in blind letters and blinding drawing. He enormously pays attention to his sharp sense of fingertips. On monitor, there is full of the repetition of phrase, "My inner self-portraits". His muttering, which is transferred to the margin space is about uneasiness to the world. Muttering is the state of ecstasy to himself. While busy schedule affects everyday life, this is the recess to which we can pay attention ourselves.
Lee Youngbin depicts the sensibility in public space. This is to look back each day like diary and hold the memory tightly. As time goes by the diary becomes my record, the very moment out of ever long lasting time like photographic image. To record the moment, read it, and seeing or reading may be the halt, in other words, recess.
What he want to represent is the happenings the inside of public space. It can be found that public space in itself various kind of happenings inside of them and including showcase of E mart, inside of public bath and inn. His paintings have a formality of air view, and it shows that he want to be a impartial observer, not be direct intervention. Borrowing the picture dairy form he reveals, however, secretly that it is his routine. Unless we see the picture of it, we do not ascertain what this is his real story. Because there is not found some special story in the writing column. It is barely mentioned about the routine. There is a repetition of "It's raining" and some information about the work. As most phrases in his painting are muttering, you can see the repetition of muttering. Vague murmur is talking to himself or herself, not to inform to others. On the contrary, it is the secret mind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by others; it would be the unconscious utterance.
What he depicts is the practical, spiritual exercise that is disguised crowdedness in daily life. There is private room even in public space: public bath for cleaning the physical dirty; Yoga class for the spiritual calm; cheap tourist inn for recovering from the fatigue. People wash the dust away in the naked feel at ease, and shake the dust of their mind. He examines the public bath on which people can strut in naked. He also unfolds the behaviour of naked people in bath where people are more comfortable than full dressed in the street. People only pay attention to themselves here. Washing the dust out would be compared to the training of the mind, as the artist says, "Drawing a picture is the training of the mind, and washing myself off is as same as practice the self-discipline". We do not notice our body until we are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of the mind. It is natural to be nude here. Naked is strange thing in other place; here, wearing a clothes are weird. A matter of course become the weird, strange thing to be natural, the other way round is possible here. Casting away superfluity of the body and the mind, that is the very thing to pay attention to me. Likewise a diary his painting is a record of daily life with the birds-eyed view and makes to retrospect of myself in public space.
Park Younggyun presents a deviation from the custom and private space for salaried man. We can see the desire of breaking rule, departure from the usual through the class of 86 out of 386 generation Mr. Kim, being a assistant deputy manager, who wants to sing loudly in Karaoke and occasionally be a women. Deputy manager Kim is the typical person in our society. He leaves himself as the trend goes by. He has on occasion tried to get out of the routine muttering the dream of the school-day. As it has seen in the copy, "Hard worker! You deserve to leave", he extremely works hard to leave, or dream of future recess without the present rest, the actualization of his idea. Daily life of Kim, however, looks so sad, cynical and unstable, for his dream has been given up and hidden somewhere in his mind. Mr. Kim, who wants once in a while to be a woman wearing a skirt, stuck the flower in his hair, but he actually wear a white dress shirt and tie tightly, tries to take a rest . He cross over the fence very risky balancing himself on legs as if he walk across over the stepping stone. He looks like one of our contemporaries who have stuck in the concrete building and survive critically. Besides, the fence under his feet seems a block of building so that he performs acrobatic between the buildings. In he sings a song with a passion, and a lingerie woman is shown on the screen. In the middle of extreme excitement and fever of drinking bout he reminds the glory(?) of his past. At this scene it shows his amount of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It seems that who wants to free from social bondage, the class of 86, Deputy manager Kim settled in regulated social frame. There is a sound echoed around reading a diary about plump soft sofa. On his monitor the plump, rounded sofa looks so relaxed, comfortable. As a living necessaries of modern times, most houses have sofa, which take up the best place in living room, as if it would be a owner. Our contemporaries like to sit on sofa whenever they take a rest, watch TV, or whatever they do. While our visual ability is poisoned by TV, sofa has a toxic effect on our body. It is occupied such important place as if it should be, not a need. The softness of sofa is disguised of the ease gives feeling languid. A empty couch and bed designate official object of 'Recess'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 is standardized. We have dreamed of momentarily 'Recess' through these things. However, vivid color, slim line and touch, blocked blue pillar represents that his rest does not make him relaxed. He gets way from the hectic life and squats down at balcony, the very private space. In his eyes are fell on somebody squatting down with the outward scenery in the background. Like potted plant next to him, he might have wished for sunshine of the day, watering. There is a new additional symptom to the contemporaries; sunshine deficiency syndrome. He is sitting low to cure 'sunshine deficiency syndrome' like plants which needs light to photosynthesize, as if it has to compensate for his faint face, confined to grayish building. He is going red like plants getting greener because of light. Poor green plant can be said a unstable nature in artificially designed environment. His situation is pretty tough-and-go in this environment. He takes an easy pose and sunbath wearing a undershirts and slippers, squatting down in his independent space. As though it looks so easy, his face turns extremely in red, for a ever lasting sunbath makes him very uncomfortable, that he can not hold out no longer. He is used to dream of the outdoors scene, it does not easy of him any longer. It, therefore, means that recess from reality does not exist any more.
While Park Younggyun is balancing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Seo Eunae leads daringly a new life. Her painting shows two types of the style : the combination of poem, calligraphy, painting of traditional landscape; folk painting. Landscape painting is not only meant to having affinity to nature, desire for returning to nature, but to find the ultimate principle of life, the essence of living with nature. In modern society, where people can not enjoy nature, instead, it has damaged and hurted, filled with grayish buildings; she creates bold landscape and utopia waving her traditional clothes to leave a way to stifling life.
As a narrator, she tells the story in traditional canvas standing at the boarder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idea and the reality. Her action represent the modern contemporary. She unfolds the story on assumption that if I were somebody "I would~". Adapting a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folk painting, she recites a poem, enjoys the elegant entertainment. There is musical entertainment, which doubles the amusement of viewers, in her title.
She is holding a brush with audacious smile in the evening glow. she does not appreciate the scenic beauty, but dare to draw a landscape painting of creative instinct to her own taste. Traditional korean scholar, Seonbi, enjoyed higher level of culture, remote from people, whereas, the artist becomes Seonbi who is singing Trot whose words harmonizes very well in traditional canvas. She plays electric Geomungo, it's sound came from speakers is reverberated through the whole. The lyrics of the Trot song of , are well harmonized in the canvas and read like poetic words that originally has to be there. Even though it is not produced by songs, it is conceivable that it becomes a song only in imagination. Her painting has a same image that of wearing a traditional Hanbok performs a rap. It links the traditional way of entertainment to the modern contemporary sentiment. As there is a saying that, "Traditional entertainment had to have a fun, however, it had an attitude of exploring the mind and the ultimate cause and then finally get an essence of the world.", (Shin Eunkyoung, Korean Traditional Entertainment, BoGo Sa, 2003) she represents her dream that happiness, anger, love, enjoyment of life will be come true through the traditional entertainment in imaginary canvas. Such behaviour- boating on river, appreciation of the scene, playing the korean flute, having a tea time- might be a state of ecstasy, immersed into the surroundings. Without hesitation followed the flow of water, relish the tea, dwell on each music and absorbed in it is the traditional way of entertainment. Finally, she realizes true meaning of life, actualizes it showing herself up in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 .
Visualization of what the real people have dreamed have succeeded in that she becomes a main character to create the world through the traditional canvas. Traditional style, narrator of the painting of I, what the narrator depicts is the world is that the past, present, future, or the reality and the fantasy has been melted in one canvas. As her utopia comes from the real life, her work moves us to sympathize and gives dreamed satisfaction.
간이역-休
길들여진 일상, 잠시 쉬어가다
현대는 첨단화를 지향하고 잘살기 위해 몸부림 중이다. 앞서나감의 척도는 속도이다. 고속철도의 보급으로 기차가 정차하는 역이 적어지고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주변의 경관마저 무시되어 시각적 여유마저 잃어가고 있다. 건물의 창문은 점점 작아지고 큰 창문이더라도 외부 공기와 차단된 밀폐식이다. 이런 환경은 현대사회의 구성원인 보통 사람들의 생활을 단조롭게 만든다. 또한 사람들도 현대적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며 점점 그것에 익숙해지고 있다. 낯선 길을 갈 때 우리는 그 길을 기억하기 위해 주변 경관을 유심히 살핀다. 그러나 그 길이 익숙해지면 처음의 느림은 점점 더 빨라지며 주변에 무심하게 된다. 이처럼 우리는 자신의 일상에 익숙해져 쉬어감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인간극장이란 TV프로그램에서 산골소녀의 일상을 보여준 적이 있었다. 방학을 맞이하여 짠 그 소녀의 시간표에는 공부시간이 고작 20분, 모든 것이 TV보는 것과 노는 시간이 전부였다. 그는 왜 공부하는 시간이 20분밖에 안되느냐는 질문에 "그거면 충분해요..."라고 너무나 당연하게 얘기했다. 다른 아이들과는 달리 그에게 공부는 20분만 하면 되는 것이었고 노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했고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도 이 소녀처럼, 방학을 맞이하는 학생처럼 자신만의 시간표를 한번 짜보자! 우리 하루의 삶 중 가장 비중있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하루의 안식을 위해 공인된 수면조차 다음 날의 삶을 위한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방학시간표를 짜듯 시간을 정해놓은 것만이 우리가 허용하는 쉼인가. 현대인은 쉼을 원하지만 그 쉼을 통해 자신이 현대의 흐름에서 뒤쳐진다는 암묵적인 압박에 시달린다. 쉼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요건이다. 계절도 다른 계절로 넘어가기 위해 쉼을 가진다. 모든 사물들이 변화나 흐름에 익숙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 앞으로 나가는 것만 쫓을 것이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잠시 멈추고 가끔은 걸어온 길을 뒤돌아보는 것이 이제는 필요하다.
간이역은 일상에서의 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간이역은 일반역과는 달리 역무원이 없고 정차만 하는 역을 말한다. 간이역은 그 역을 지나는 모든 기차들에게 멈춤을 강요하지 않는다. 어떤 것은 스쳐지나가고 어떤 것은 일시적으로 멈춘다. 속도가 경쟁력인 현대에 간이역은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는 공간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바쁜 일상을 사는 이에게 이 공간은 불편하고 불필요한 공간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짧은 멈춤의 공간, 멈춤의 시간은 주변을 돌아볼 수 있게, 기차를 타고 있는 이에게 기차와 함께 쉼의 시간을 가지게 한다.
간이역은 잠시 쉬어가는 곳이다. 그곳은 여기도 저기도 아니지만 여기와 저기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가 맞닿는 곳이며 시간을 거스르는 곳이며 현재가 머무르는 시간이다. 이 전시에서 간이역은 물리적 공간(공원, 휴게소, 집, 소파 등)과 감성적 공간(가족, 정(情), 꿈, 휴식, 상상을 통한 현실의 이탈 등)을 아우르는 의미이다. 통제하는 이도 통제받는 이도 없는 간이역. 그곳에서 쉬어가듯, 이 공간에서는 일상 속에서 누구의 시선에도 통제받지 않는 자신의 의지에 맡겨 잠시 쉬어가자.
문장에서 쉼표는 호흡을 한번 쉬어가는 여유를 준다. 우리의 생활에서도 이런 '쉼표'의 순간들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짬짬이 쉬어가는, 무심히 지나치는 순간이나 잠시 꿈꾸는 순간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들을 이미지화시킨 가시적 공간들을 통해 우리의 일상을 되돌아보자.
이 전시는 내가 일상을 누리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일상이 우리는 지배하고 있는 현시대에 일상을 쪼개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일상 속에서 항상 움직여야 하는 진행형이 아닌 쉼표처럼 '쉼'의 지점과 '쉼'의 시간을 찾아가는 전시이다. 우리 일상에서 쉼의 여유를 느끼는 공간과 시간은 언제인가. 산책길을 거닐거나 차를 마시는 것, 벤치에 앉아 다리의 피곤함을 뉘이는 것 등이 일반적인 쉼의 공간이며 쉼의 시간일 것이다. 이 전시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식된 쉼이나 여유를 형상화한 작품도 볼 수 있지만 일반적이 아닌, 쉼을 가장한 불편함을 통해 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작품도 있다. 우리는 화폭 속의 생활세계의 풍경을 보며 나의 일상을 되짚어보는 생각의 시간을 갖게 되고 빨리빨리 살고자 하는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의 잠시 쉴 수 있는, 몸(육체적 여유) 뿐 아니라 정신적 여유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보게 된다. 작가들은 보통 사람들이 달력의 빨간 날을 세며 삶의 쉼을 꿈꾸듯, 일상의 끄적거림과 같은 무의식적 낙서를 통해 생각의 쉼을 주듯, 일상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休의 공간, 개인적인 休의 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자리잡은 休의 공간 등 물리적․감성적 공간을 제시함으로써 쉼을 보여준다. 각각 다른 시선으로 자신의 일상세계를 소재로 한 6명의 작가들의 가시화된 공간을 통해 익숙해진 일상을 되돌아보고 일상에서의 '쉼'의 지점를 찾아보자. 이 공간에서 '잠시 꺼 두셔도 좋습니다'라는 광고문구처럼 바쁜 일상은 잠시 접어두고 타인의 일상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면서 나의 삶과 나의 감정의 여유를 느껴보자!
관음적 시선-타자의 일상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들여다보다
현대의 사회상을 가장 밀접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마도 광고일 것이다. 그 중 情을 컨셉으로 한 초코파이 광고를 생각해보자. 이 시리즈는 정이라는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면에 호소하며 다양한 계층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정" 시리즈에서 테마로 잡은 것은 일상이다. 이사오는 날, 건널목 아저씨, 집배원 아저씨, 여름 원두막, 학교 가는 날 등.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았을, 그리고 겪었을 일들이 펼쳐진다. 이러한 것은 영화에서도 미술에서도 인간적인 것을 소재로, 일상적인 것을 소재로 하는 내용이 많아지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일상으로의 관심은 일상이 '우리'의 공통 소재이기에 친밀도를 높인다. 보통사람임을 외치는 것도, 대중을 소비의 주체로 삼고 있는 상품을 위한 광고가 일상적, 가정적, 자연적인 것을 소재로 삼는 것도 '우리'라는 공동그룹이 관심을 가지고 경험한 것이라는 공통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상적인 것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일상에 대한 관심은 특별한 것은 아니다. 17세기 네덜란드 시기에 사회적 변화(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칼뱅주의, 개인주의 등)로 사람들은 "자신"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 관심을 가졌다. 조선시대에도 근대적 사회를 지향하려는 경향과 근대적 인간주의의 발현으로 서민의 삶과 일상을 그린 풍속화가 유행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일상세계를 소재로 하여 대중과의 공통성을 꾀하는 작품들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일상적 삶에 가상적인 것(현실과 괴리된 개념적 세계)을 보태거나 빼지 않은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곳, 즉 현실적인 것을 바탕으로 하기에 너와 나의 다름이 아닌 우리라는 공통성을 가지게 한다.
이 전시의 초점도 일상세계로 잡혀있다. 일상세계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처럼 뚜렷하게 잡히지는 않지만 항상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바라보는 것은 타인의 일상이다. 작가의 일상, 주변의 일상 그리고 작가가 바라보고 느낀 일상이다. 타인의 일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객관적이고 관음적이다. "눈이 하는 관찰은 신체적인 행위로 번역되는데, 이때 매체 고유의 도구와 서재가 이용되어 화상畵像을 구성하고 구축하게 된다. 예술가의 경험적인 관찰은 자신이 살았던 모든 역사와 인격에 의해, 이전에 쌓았던 수련과 과거 예술에 대한 지식에 의해 그 깊이가 더해질 것이다."(비주얼 컬쳐, 존 A. 워커․사라 채플린, 임산 옮김, 2004, 루비박스)라고 언급했듯, 경험적인 관찰과 그것을 통한 화면구축은 관람자에게도 경험과 지식의 통합을 통한 이해와 감상을 부추긴다. 그려진 화면을 보는 것은 문자를 읽어 상황을 상상하고 의미를 재독해하는 것과는 달리 이미지를 보고 즉각적으로 상황을 이해한다. 그러나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자신의 생활과 경험을 상기하듯 그림 화면을 통해서도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대리경험과 대리 감정을 느끼게 된다.
김덕기Kim Dukki
우리의 일상은 나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관계로 전개된다. 그 중 가족은 우리라는 한 울타리로 엮게 되는 친밀한 그룹이다. 우리가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일반적임과 동시에 특별하다. 현대사회가 개인주의화되면서 새로운 가족주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예전의 대가족 제도하에서의 현상과는 달리 핵가족화된 사회에서 개인주의와 겹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것은 현대문물이 '섬'화(고립화) 되는 현상 속에서 '우리'라는 가족그룹이 주는 동질감에 대한 안도감이 가져다주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김덕기는 이런 가족주의 현상을 시각화 한다. 그는 가족 중심으로 펼쳐진 따사로운 이야기들을 기록하며 이 가족 이야기는 작가의 이야기지만 우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의 그림은 글과 함께 한다. 그림 속 공간에 함께 들어앉는 것이 아니라 그림 옆에 부가적인 요소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림의 이미지적 즉각성, 텍스트의 재해독과 더불어 그림을 해독하여 공감을 유발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그의 작품은 웃음소리와 가족과 집 시리즈로 펼쳐진다. 그는 오늘의 일상을 직접적이고 즐겁고 가볍게 바라보며 삶의 여정을 표현한다. 그의 그림을 보면 인생은 즐겁기만 한 것처럼 보인다. 바탕칠을 하고 마르기 전 다른 색을 올려 밑 색이 우러나게 하는 것, 그리고 파스텔과 크레용, 먹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 그러한 재료들을 한지 위에 올리는 것 등은 내가 살고 있는 지금 이곳이 하나의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가 함께하고 그 시간들이 겹쳐 현재가 있게 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러 공간의 공존을 의미한다. 그의 그림 속에서도 시간은 공존한다. <웃음소리-봄․여름․가을․겨울>은 가족과 함께한 시간을 화폭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담은 작품이다. 겹쳐진 형상을 통해, 짙고 옅음으로 인해 그는 시간의 경과와 추억의 간극을 담아낸다. 여행 수필처럼 그 계절마다 즐겼던 가족과의 문화를, 추억을 담아낸다.
가족을 한 울타리에 묶는 것은 집이다. 집은 영어로 Home과 House로 표기된다. House가 집의 외면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Home은 감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의미에서 집은 외면적인 집의 형태와 그 속에 있는 구성원인 가족, 그리고 그들을 함께 묶는 감정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그의 집은 House와 Home이 합쳐진 것이지만 Home의 의미가 더 강하다. 그의 작품 곳곳에 나타나는 집들은 서로가 서로를 맞대고 있는 형상이다. 이웃과 이웃이 맞닿아 형성되는 집과 동네는 놀이기구의 일종인 정글짐 같은 형태를 이룬다. 그 속에서 각각의 모습은 정겨운 모습이다. 그러나 정글짐이 선들로 연결된 놀이기구로 재미와 더불어 서툰 발 디딤으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지니고 있듯 서로가 서로를 맞대고 살고 있는 모습에서 그들이 가진 행복의 아스라함과 아슬함을 느끼게 된다.
그에게 꽃은 사랑을 전달하고 기념하는 매개체이다. 나의 생의 기쁨이고 사랑의 주체인 아내에게 그는 꽃으로 사랑을 전한다. "웃음만발, 생기발랄, 행복가득"등 경쾌함이 넘치는 그의 화면에는 일상사의 불협화음은 없다. 집, 우리 동네 등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사랑, 가족 등 감성적 공간까지 담아내는 그는 가족에 대한 모범답안을 제시하는 듯 보인다. 김덕기의 가족이야기는 동화책에서의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라는 결말처럼 동화적이다.
홍인숙Hong Insook
홍인숙은 가족 자화상을 통해 자신의 가족에 대한 기억을 담아낸다. 화면에 표현된 가족과의 추억의 단편들과 개인적인 추억의 사물들은 우리 자신의 추억과 사물을 연상케 하여 기억의 끝자락을 끌어낸다. 한지 위에 선과 색을 올리는 그의 작업 과정은 추억과도 같은 빛깔을 띤다. 겹겹이 올려진 한지와 선과 색이 하나씩 덧붙여지는 판화, 삶의 흔적이 층층이 쌓이는 추억은 서로 닮은꼴이다. 화면에서 여백은 추억에 대한 울림의 공간으로 보인다.
'전시공간에서 그림을 불편하게 보았으면 좋겠다'는 그의 말처럼 어쩌면 추억을 들쳐보는 것, 자신의 이야기를 드러내는 것은 불편한 일일 것이다. 앨범을 펼쳐 지나간 시간을 읽어가듯 우리는 그의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며 지나간 시간을 읽어본다.
그의 그림에는 꽃들이 등장한다. 일상 속에서 경험과 전통의 관념 하에 인식된 사물들은 나름의 체계를 지닌다. 그것은 보편화된 상징성을 가지게 된다. 그 중 꽃은 어느 곳에서나, 언제나 환영받는 존재가 된다. 그러한 꽃들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리 요구된다. 어버이날이나 스승의 날에는 감사의 꽃 카네이션, 죽음을 애도할 때에는 국화, 사랑을 고백할 때는 장미 등. 그것도 색깔에 따라 다르다. 홍인숙의 그림에서는 목단과 국화가 그의 가족과 추억의 상징물이 된다.
그의 이야기는 목단으로부터 시작된다. 목단이 피어있는 곳에서 그는 흰옷을 입고 다소곳이 두 손을 모으고 눈물을 흘린다. <귀가도>라는 작품이다. 귀가도(歸家圖)는 집으로 돌아감이다. 그에게 집은 가족과의 추억이 담긴 대상이다. 그의 이야기는 가족과의 세월새김으로 그는 돌아온 길을 되돌아보며 되새김을 한다. 목단을 통해 과거로 들어간다. 다소곳한 그의 눈물은 아픔을 속으로 되뇌이는 듯하여 더욱 가슴 아픈 눈물로 다가온다. 그리고 목단...그리고 세월의 손때가 묻은 자개 액자...자개액자는 원래부터 액자는 아니었다. 어머니가 시집올 때 가져온 가구의 자개문짝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 그를 감싼다. 여기서 자개액자는 그의 어머니,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한 삶을 의미한다.
목단을 길잡이로 작가의 어린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버지가 딸을 안고 그 딸은 목단을 잡고 있다. 목단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부귀영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에게 그것은 가족과의 추억을 연상하게 하는 매개체이며 과거와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이다. 할머니에게 그것은 자식을 뒷바라지하게 한 고마운 꽃이고 그에게 그것은 할머니의 손길을 느끼게 하고 어린시절을 회상하게 하는 매개체이다.
我父地.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아부지이다. 통상적으로 이 말은 자기 아버지를 일컫는다. 아부지를 그는 我父地로 표기한다. 기존의 단어로 조합어를 만든다. 문자도가 그림의 형상을 빌어 그 문자의 뜻을 전한다고 한다면 홍인숙의 문자는 문자자체를 빌어 그림에 뜻을 더한다. <큰누나-我父地>는 生의 관계를 보여준다. 아버지의 자식 중 큰 딸인 '나'와 아버지, 동생들에게 큰누나인 나와 아버지, 그리고 땅. 땅은 태초부터 모든 만물 태생의 근원이며 아버지는 집안의 큰누나인 나의 근원이다. 이 그림은 단순히 큰누나인 나와 아버지가 아니라 근원에 대한 물음을 제시한다. 생계도(生系圖)를 나타내는 것이다.
나를 있게 한 아부지와 이제는 삶을 함께 한다. 아버지에게 안겨 생의 첫출발인 기념(돐)사진을 찍은 나는 이제 커서 아버지의 의지처가 된다. 나와 아버지가 목마를 타고 있다. 한손에는 목마의 손잡이를 다른 한손에는 막대기를 잡고 있는 작가의 아버지는 앞을 보고 갈 길을 주시한다. 작가는 아버지의 허리를 잡고 아버지에게 의지한 채, 아니 아버지의 의지처가 되어 웃고 있다. 그 웃음은 그리 밝아보이지는 않는다. 목마를 지탱하고 있는 스프링도 튼튼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삶의 '아스라함'을 보여주는 것일까. 그 속에서 나의 존재가 '나만'이라는 독립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도 혼자가 아니라 나와 아버지가 함께 한다.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든 아버지와 함께 하는 큰 딸. 그녀는 이제 어린 자식이 아닌 동반자이다.
아빠와 함께 달리던 큰누나는 혼자서 눈물을 흘린다. 몸을 늘어뜨린 채 울고 있는 그녀 아래 흰 국화가 있고 머리에는 흰색 리본이 꽂혀있다. 아버지의 건강을 기원하던 노란 국화는 흰 국화로 대체되었다. 흰 국화와 머리의 흰색 리본은 사회적 통념상 죽음을 연상시킨다. 이제 아버지를 떠나보낸 큰누나는 눈물을 흘린다. 몸을 큰 대자로 놓고 크게 운다. 크게 울어버림으로 이제는 묵혔던 감정을 풀어버린다. 몸을 다소곳이 한 채 눈물을 흘린다. 눈물의 흐름을 따라 시선을 두면 흰 국화로 만들어진 눈물 루(淚)가 보인다. 눈물은 흰 국화를 만들고 흰 국화는 淚자를 만든다. 문자로 한 번 더 의미를 되새김질한다. 눈물을 쏟아냄으로, 淚자라는 문자로 그의 슬픔은 닻을 내린다.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흰 새는 다소곳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 그의 슬픔을 대변한다. 촛대에서 초를 대신하는 흰 국화 그리고 淚자 속에 있던 그 새는 흰 국화를 물고 촛대 위를 날고 있다. 나의 눈물로 이루어진 흰 국화, 그것은 나의 눈물을 담아 추억 속에서 불로장수한다.
박영선Park Youngsun
박영선은 우리 동네의 일상, 지나간 경험이나 특정한 일상을 재조립하여 새로운 시간을 설정한다. 작가의 시선은 일정한 위치에 있다. 그는 그 위치에서 동네 사람들의 일상을 훔쳐본다. 이러한 시선은 관음적이다. 자신의 눈으로 타자의 삶을 응시함으로 타자의 삶을 자신의 삶에 귀속시킨다. 박영선은 관조적인 시선을 통해 선택된 하나하나의 사물과 배경을 그려 그것을 재배치하여 행동반경도 설정한다. 이미지로 단편화된 것이 아니라 플래쉬 애니메이션으로 동시성으로 반복되는 화면은 반복되는 우리의 일상을 보여준다. 관조적으로 혹은 관음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타인의 일상은 재연출되어 '별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을 '별것'으로 보이게 한다.
작가는 타인의 일상을 관찰하고 우리는 작가가 연출한 타인(동네사람들)의 일상을 본다. 그가 풀어내는 일상은 수필처럼 신변잡기로 가득하다. 그러나 선택된 이미지는 작가에 의해 각색되어 마치 소설구절처럼 소소한 이야깃거리이며 구체적이다. 타인의 삶을 읽어간다는 것은 주관성이 배재된 객관적인 시각을 부여하게 한다.
박영선의 시선은 우리 동네를 향하고 있다. 하나의 담을 맞대고, 낮은 돌담을 경계로 자리잡았던 우리의 가옥들과 동네모습이 이제 점점 사라지고 있다. 담은 점점 높아지고 경보등에 창살까지 설치하고 있다. 담이 없더라도 네모난 상자처럼 생긴 현대식 가옥인 아파트에 삶으로써 사람들은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삭막해져가는 현대화의 물결 속에서 이제는 담장 허물기 운동과 같은 사회적 움직임이 이웃과의 단촐함의, 믿음의 사회를, 소통의 사회를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일까? 그러한 흐름 속에서 박영선의 우리동네 모습은 새롭고도 친밀하다. 작가는 동네사람들의 일상을 관찰한다. 담백한 선으로 그려진 형상들은 '동네'라는 단어가 주는 것처럼 소박하다.
<우리동네-사계절>은 그의 집과 그, 그리고 그의 주변 사람들이 함께하는 동네이야기이다. 그리고 <잡초뽑기>는 우리동네 중 자신의 집 마당을 근거리에서 잡은 작품이다. 같은 장소에서 계절을 달리하여 진행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나비가 날고 사람들이 봄맞이 대청소를 하는 봄, 미니스커트를 입고 지나가는 아가씨와 수영을 하고 오는 여름, 낙엽을 치우는 가을, 눈이 오고 그 눈에 미끄러지는 겨울 등 그 계절의 특징적인 일들이 펼쳐진다. 타인의 일상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작가와 우리는 관찰자적 시점에 있다. 그러나 작가는 그곳에 개입하여 상황을 이끌어간다는 입장에서 관찰자 시점과 주인공 시점을 동시에 가진다. 연출된 화면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관객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들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관객의 시선은 그들의 일상을 본다. 움직이는 화면을 보는 것은 문자를 읽는 것과는 달리 생각의 틈을 주지 않고 책을 읽을 때 재독해를 위해 잠시 멈추는 행위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보는 사람은 등장인물에 의지하며 수동적인 입장이 된다. 그러나 화상은 장면의 간격, 시간의 압축, 장소나 시점의 이동, 복수의 내러티브의 동시 진행 등을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움직이는 화면을 보는 행위는 능동적인 심적 노동을 필요로 한다. (비주얼 컬쳐, 존 A. 워커․사라 채플린, 임산 옮김, 2004, 루비박스 p.206)
<우리동네-사계절>에 출연하는 동네사람들은 서로에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서로 각자의 일에만 열중한다. 간혹 지나가는 아가씨를 훔쳐보는 아저씨의 시선도 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구역에서 자기 일에만 열중한다. 각각의 화면에 등장하는 인물과 동물들은 대부분 자기 일에만 열중한다. <잡초뽑기>의 잡초뽑는 사람은 잡초뽑기에만, 개도 자기행동에만 열중한다. 개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듯 날아가는 나비를 쫓는 등의 행동이나 주인을 따라다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는다. 나비도 날개 짓만 열심히 한다. 꽃의 향기를 맡거나 꽃에 앉거나 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그들의 행동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지만 잡초 뽑는 행동, 나비의 날개짓, 개의 걸음 등을 반복적이다. <서천공사장>도 마찬가지다. 낙엽의 흩날림도, 땅을 파고 흙을 나르고 하는 것들도 반복적이다.
개발이 한창인 서천 공사장은 현재의 모습이 변하게 되는 곳이다. 그 곳 뒷산에 호랑이와 이름모를 동물(여우나 다람쥐로 짐작되는 동물)이 어슬렁거리며 왔다 갔다 한다. 이제 그 동물들은 터전을 잃게 된다. 누군가가 더 잘 살기 위해 벌이는 행위가 다른 누군가의 생을 위협하는 모습.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의 모습이 아닐까.
이영빈Lee Youngbin
박영선과 이영빈은 부감법으로 일상을 그려낸다는 것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박영선이 자신과 동네 사람들의 일상을 일정한 곳에서 계절을 달리하여 보여줬다면(물론 서천공사장이나 잡초뽑기처럼 다른 장소를 바라본 것도 있지만) 이영빈은 자신이 생활한 곳, 즉 장소를 달리 하여 표현한다. 박영선이 우리 동네라는 외부 공간을 표현하였다면 이영빈은 대중 공간(이마트, 목욕탕, 강당 등) 중 내부 공간을 주로 표현한다.
내부공간에 몰두하는 것은 내면적인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며 내면적인 것에 비중을 두는 그의 작업은 눈먼 글씨와 눈먼 드로잉으로부터 시작한다. 손끝 감각에 모든 것을 집중한다. "나의 내면의 자화상"이라는 문구가 반복되어 화면에 가득하다. 여백에 옮겨진 작가의 중얼거림은 세상에서 자신이 가지게 되는 불안함을 담고 있다. 중얼거림은 자신에게 몰입하는 행위이다. 그것은 바쁘게 움직이는 생활 리듬에서 잠시나마 자신에게 몰입할 수 있는, 쉬어감의 행위이다.
이영빈은 대중공간에서의 느낌을 담는다. 그것은 일기처럼 하루를 돌아보고 기억을 붙잡는 것이다. 시간이 지난 뒤 일기는 나의 기록이 되며 사진 이미지처럼 일상이라는 긴 시간 중 찰나가 된다. 그 찰나를 기록하는 행위, 그리고 그것을 읽는 행위, 그리고 보고 있는 그 모든 행위들은 현재의 진행적인 현상에서 잠시의 멈춤, 즉 쉼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가 담는 것은 대중공간의 내부이다. 이마트의 진열공간, 목욕탕 안, 그리고 여관 안. 그 곳의 공간만을 담은 장면,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요지경이 그림 속에 등장한다. 그의 그림은 조감도와 같은 형식을 띠며 이는 작가가 관찰자 입장에서 보는 시선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는 그림일기장을 빌어 이것이 자신의 일상의 기록임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그의 그림이 자신의 생활의 기록이라는 것은 그림일기장에 그린 그림을 보지 않는다면 표현 내용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림 일기장에 그린 그림에서 그림일기의 글자를 적는 칸에 특별한 얘기는 없다. 일상적인 이야기의 언급도 드물다. "비가 오는 날"이라는 글귀만이 반복되거나 작품에 대한 정보만 있다. 그의 그림 전반에 나타나는 글귀들이 대부분 그의 중얼거림이듯 여기에서 보이는 것들도 중얼거림의 반복이다. 중얼거림은 혼자의 되새김이며 타인에게 알리고자 하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은연중에 자신의 뜻을 알아주길 바라는 맘이 숨어있기도 하다. 그것은 무의식적인 언급이기도 하다.
대중적 공간에서 펼쳐지는 그 일상은 번잡함을 가장한 수련의 일상이다. 육체의 더러움을 벗어내는 목욕탕, 정신의 혼란함을 벗어내는 요가강습소, 여행의 노곤함을 벗어 버리는 여인숙. 이곳은 대중적 공간이지만 자신만의 영역이 주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알몸으로 편안하게 찌든 더러움을 벗어내고 노곤함을 털어낸다. 생각의 군더더기를 벗어버린다. 작가는 알몸으로 이곳저곳을 마음껏 누빌 수 있는 목욕탕의 공간을 풀어낸다. 펼친 구도의 이 목욕탕은 사람들의 목욕탕에서의 행태도 펼쳐 보인다. 옷을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것보다 여기서 옷을 벗고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자유롭다. 이곳에서는 자신에게만 열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석구석 더러움을 씻어내는 행위는 수행하는 것과 비견된다. 작가는 "그림은 수행이고 그림을 그리는 것은 날 씻는 행위이며 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듯 이들은 자기 몸을 구석구석 닦음으로 수련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가 평소에는 지나쳐 버렸던 몸의 부분들은 이때서야 관심을 받고 수련 행위에 참여하게 된다. 여기서 벌거벗음을 당연한 것이다. 다른 곳에서의 벌거벗음이 낯설고 이상한 행위라면 여기서 옷을 입고 있음이 이상한 것이다. 당연한 것이 이상한 것이 되고 이상한 것이 당연시 되는 것, 여기서는 세상을 뒤집어보는 것이 가능하다. 육체와 정신의 군더더기를 버리는 것, 이것이야말로 자신에게 몰두하는 시간이 아닐까. 일기처럼 그의 그림은 자기 일상의 조감도이며 대중공간에서의 나를 돌아보게 한다.
박영균Park Younggyun
박영균은 개인적 공간과 샐러리맨의 상상적 일탈을 제시한다. 박영균의 그림을 통해 우리는 노래방에서 흠씬 소리를 지르고, 가끔 여자이고 싶은 386세대인 86학번 김대리를 통해 규정화된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샐러리맨의 일상탈출의 욕구를 본다. 김대리는 자본주의 사회의 전형적인 직장인이다. 그는 현대의 물결에 몸을 맡긴다. 가끔 그는 때때로 학창시절의 꿈을 되뇌이고 고된 일상을 탈출하고자 하기도 한다. 그러나 "열심히 일한 당신, 자 떠나라"라는 광고처럼 그는 떠나기 위해, 미래의 쉼을 위해 현실의 쉼을 외면한 채, 과거에 꿈꾸었던 이상은 접어둔 채 열심히 일한다. 그러나 예전의 이상은 가슴 한켠에 묻어두고 현실에 발 딛고 있는 김대리의 일상은 아슬하고 자조적이다. 머리에 꽃을 꽂고 가끔은 치마를 입은 여자이고 싶은, (그렇지만 여자의 일생에서 하나의 '틀'이 되어버린 밥하고 설거지 하는 티 안 나는 가정생활은 말고) 화이트칼라셔츠에 넥타이를 질끈 맨 전형적인 샐러리맨 차림의 김대리는 <꽃밭에서> 쉼을 꾀한다. 그는 징검다리를 건너듯 울타리 위를 아슬하게 <중심>을 잡으며 건너고 있다. 그의 발아래 있는 울타리는 마치 건물처럼 보이며 그는 건물 사이에서 곡예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모습은 마치 현대사회의 상징물인 건물 안에 구속되어 삶을 아슬하게 지탱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처럼 보인다. <86학번 김대리>는 '솔아솔아 푸르른 솔아'를 열창하고 있고 모니터에는 속옷차림을 한 여자의 모습이 나오고 있다. 한층 고조된 오락의 열기 속에서 잠시 찬란했던(?)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다. 이러한 화면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됨을 보여준다.
사회의 규정화된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86학번 김대리는 이제 현실의 규정화된 틀 속에서 안주한 듯 보인다. 살찐 소파에 대한 일기를 낭송하는 소리가 울려 퍼진다. 그의 화면 속에 살찐 소파의 부푼 몸뚱아리는 느긋해 보이며 한가로워 보인다. 소파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마치 자신이 집주인인양 명당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인은 쉼을 원할 때나 TV를 볼 때나 그 외의 일을 할 때도 그 소파에 앉기를 원한다. TV가 시각을 중독시킨다면 소파는 몸을 중독시킨다. 원하기보다는 당연한 듯 그곳에 위치한다. 소파는 푹신함으로 안락함을 가장하고 나른함과 노곤함을 준다.
빈 소파와 침대 등은 현대인의 획일화된 공간에서 '쉼'에 대한 공식적 사물이다. 우리는 이 사물을 통해 잠시나마의 '쉼'을 꿈꾼다. 그러나 발랄한 색과 가는 선과 터치, 그리고 구석진 곳에서의 알 수 없는 움직임의 흔적들은 쉼이 편안하지만은 않음을 말하는 것 같다. 실내에서의 번잡함을 탈출해 나만의 독립된 공간인 베란다에 쪼그리고 앉는다. <베란다에서> 바깥 풍경을 등지고 쪼그리고 앉아있는 그의 시선은 누군가를 향하고 있다. 옆에 놓인 화분처럼 그는 한낮의 햇살을 바라고, 한줄기의 물줄기를 바라고 있는 것일지도...현대인에게는 '햇볕결핍증후군'이라는 새로운 증상이 추가되었다. 회색건물에 갇혀 화색이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보상이라도 받는 듯 그는 웅크리고 앉아 '햇볕결핍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고 있다. 화분의 풀에 푸름을 더하듯 그는 점점 더 홍조를 띠어가고 있다. 애처롭기까지한 녹색식물은 인공 환경 속에 존재하는 아슬한 자연이다. 그 또한 인공 환경 속에서 아슬하게 존재하는 현대인이다. 그는 러닝셔츠에 슬리퍼를 신은 가장 편안한 차림으로 쪼그리고 앉아 독립된 공간 속에서 일광욕을 한다. 편안한 듯 보이지만 벌겋게 익어가는 그의 얼굴은 쪼그리고 앉은 불편한 자세와 과도한 일광욕으로 이제는 이곳에서의 쉼이 불편함을 의미하는 것 같다. 바깥의 풍경을 꿈꾸지만 그 풍경도 결코 편안해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현실에서의 그의 쉼은 결코 편안한 쉼은 아닌 것이다.
서은애Seo Eunae
박영균이 현실과 이상의 가운데서 곡예를 하고 있다면 서은애는 과감하게 새로운 세상을 영위한다. 그의 그림은 전통적인 산수화의 시, 서, 화가 어우린 형식이나 민화의 형식을 띤다. 산수화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친화력이나 자연회귀의 소망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삶의 본질을 발견하여 생의 이치를 깨닫게 하는 그림이다. 자연을 느끼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자연 대신 회색건물이 빡빡하게 채워지는 현대사회, 그는 이러한 사회에 숨통을 트이게끔 도포자락을 휘날리며 대담하게 산수를 만들고 무릉도원을 만든다.
그는 전통적인 화면 속에서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 현실과 이상 사이의 경계에서 1인칭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펼쳐간다. 그의 행동은 현대인을 대표한다. 자신을 통해 '아마도 이럴 것이다'라는 가정으로 그는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기존의 산수화와 민화 화폭에서 봄을 노래하고 풍류를 즐긴다. 그의 그림 제목에는 '띠리링', '산들산들', '홍홍홍', '닐리리'와 같은 여흥구가 함께한다. 그것은 보는 이에게 흥을 배가 시키는 역할을 한다.
노을이
Why don't we take a short Rest ?
Cho Eun-chung, curator
Our accustomed daily life, take a short break.
Our contemporaries are striving hard to live better aiming at advanced high technology. The criterion of going in advance is the speed. As the coming into wide use of KTX, the number of train stop has been decreased. A great speed makes to lose our visual comfort by not much paying attention to the scenic view. Windows of the buildings are getting less and less, even if it is wide, it adopts tightly sealed system that shuts to the air. Such environment leads life of the ordinary people monotonous. People are also strives to pace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get accustomed to it. If we go unfamiliar place we would take a good look to remember the route. When we quite experienced in such things, getting fast from the first slowness, we would be indifferent to the surroundings. In this way, we might have forgotten the recess for the reason of the routine way of living.
On TV program, , there has ever been introduced every day life of up-country girl. Except the 20 minutes for studying, everything in her schedule, that she has made it specially before the vacation, is watching TV and play time. The TV producer asked to her, "Why do you have study hours only for 20 minutes?" There is no wonder, when she answered, "It's enough."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fun, it is naturally enough for her 20 minutes studying unlike other kids. Shall we make own schedule like this girl, students on vacation? What is the most precious part of the day? ... Don't we have even treated the authorized hours of sleep as a rest for the life of tomorrow? Tied to the timetable can be the only way of the rest? Everyone needs recess. Our contemporaries are, however, troubled with silent pressure when they take a rest for they might have left behind. Recess is the essential part of life. The Turning of the season also needs a pause. It gives some amount of time to get accustomed the change. We, therefore, need to look back on our way, making a halt right here, not spent our whole life in pursuit of going advance.
A Whistle Stop refers to take a rest from the everyday life. In small station, there is no crew, it just stop in moving direction. It does not force every passing train to stop. Some might pass through, some might stop. In modern society, high speed being the most competitive power, you may think that kind of place is against all the spirit of the time. The place and time of quick stop allows the passengers to look around surroundings and to rest.
A Whistle Stop is the rest place for a while. It is not here and there, but exists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place. This is the place of coming contact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present and the future, going against the time and staying with the present. In this exhibition, a Small Station has the meaning of putting together the physical space- park, rest area, home, coach - and the emotional space- family, dream, rest, derivation of the reality through the imagination. A small station, there is no control of something, no one governed by it. Likewise the moving train, let's have a small stop with the help of the will from which we are free others in this show.
A comma gives a short pause in sentence. There is the moment of 'some pause' in our life. It is the time when we have a spare time, a moment of the dreaming, unconsciously take a look something. Let's have a look at our life in this visualized space through the captured images.
This exhibition intends to careful look into the deliberated pieces of everyday life, which we do not live in it, or rather it regulates us, search for the place and the time of 'recess' like comma in sentence, because we are not the moving existence. What is the time and place of taking a rest in daily life? Usual way of the recess might be taking a walk, having a tea time, relaxing the legs sitting on a bench. To say nothing of general concept of work, there, however, are some artworks that make the viewers to reconsider the recess through the moment of the most uncomfortable. We can have a time to think to ourselves and get some relaxing space where people are available for the exhausted body and the hectic mind in the appreciation for the illuminated. The artists shows the recess presenting sentimental and physical space such as generally perceived sentimental space in everyday, private space and social relaxing place as though people checks the holidays in calender dreaming of the recess, and gives recess from the mind by unconscious scrawl of everyday life. How about looking back 'the routine day' and finding a place for 'Recess' through 6 artists who illuminates every day affairs? Like a famous copy, "It is O.K to turn off your cell phone", let's escape from the routine, recover your composure by contemplating of other's daily happening!
Voyeuristic Way of Seeing - Try to look into ourselves through the others
It is probably an advertisement to show exactly what the modern society is. Let's consider the chocolate pie advertisement whose main concept is the korean affection. This series of advertisement has aroused sympathy of the whole community appealing to humanistic sentiment. The main theme is the everyday affairs. It tells about the everyday happenings: the day of moving, a flagman at the crossing, a postman, a summer lookout shed, on the way to school. There is a tread of connections between films and art in the fact that they deals with the everyday happenings and human story as a subject matter is getting common. As the concern about everyday based on 'we' it become intimately acquainted. Commercial advertisements whose consumers are the mass would like to deal with the everyday life, the homelike and the unartificial, because it has a common ground of 'our experience'.
Artwork deals with everyday life as subjects enables people to have a better communication. It is not unusual to take an interest in daily life. With the social changes - to achieve independence from Spain, Calvinism, Individualism etc. - there had been a concern about the world of "self- oriented" in 17C Netherlands. In Chosun period a genre painting that illuminates life of the ordinary had been popular due to the tendency towards moder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humanism. At this time, there has been various attempts to deal with daily life to share a common with the mass. It has, therefore, been found that we, altogether you and me, have in common in their stories that does not need to add up and take away from reality, because it has based on the real world where we live.
The main focus of this exhibition is everyday life. It is the everyday life that always surrounds us in every aspect like the air, but it can not see clearly. What we see here is the everyday life of the others: everyday life of the artist, the whole neighbourhood and what the artist has observed, felt. To see the others everyday life means try to look into objectively, in other words, voyeuristic view. As John A. Walker said in , "What the eyes have observed is able to translate into the behaviour of the body, where visual image has been constructed and organized using the tool of media and libraries. Experiential observation of the artists may deepen by history and personality of the time, practi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history.", Experiential observation and visual construction encourage the viewers to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on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t is the prompt understanding of seeing the image, not the process of reading letters, figuring a situation and then reviewing the meaning. As we remind our experiences while watching TV dramas and movies, we can also experience the acting of others and substitute feeling through the pictures.
Our daily life develops into the interrelationship that connects me and others. Family is the most intimate group among them. Our mixed feeling about family has both the general and the special. During the course of individualization in modern society it has emerged the family-oriented phenomenon. There is where individualism overlaps with familism in particular, unlike a large family system. Familism can be explained as a homogeneous group that gives a relieved feeling in the process of isolated living in modern society. Kim Dukki visualizes such phenomenon of familism. He records warm hearted family story that is his story; at the same time, ours. His paintings accompany with letters. It does not live together in canvas, but exists in extra elements. It gives, nevertheless, visual promptness and comprehension of the text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sympathy.
His work unfolds several series of and . He presents the journey of life looking at the daily in direct, light and cheerful way. In his work life seems delightful. As if we take a walk along the path we feel placidity in his work. He employs such methodology : at first, make the base colour, put another before it dries, and then the base colour will come out; using a variety of material like pastel, crayon and ink-stick; put these material on traditional korean paper. His methodology implies that where we live now does not stand for just one place, but the overlapped time, the past and the future, that can make the present. His work, illustrates the valuable moment of family on restricted space of canvas. He depicts a gap between the passage of time and the memory through the overlapped figures and by a difference of the darkness and the brightness. His work is a kind of travel sketch which conveys the memoir and culture of family in each season.
Family can be altogether in the house. Whereas house refers the image of outward appearance, home is emphasized the emotional aspect. Doesn't it mean that two concept, external appearance and emotion of the family members, are combined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For this reason his series has the powerful meaning of home.
Several houses that are standing against each other are distinguished features in his paintings. His town formed into a house to house assumes a jungle gym, a kind of kids sports facility. People are happy there. Their happiness seems, however, too risky as they might fallen down on the jungle gym that usually gives them so much pleasure.
Flowers are a messenger of love and a medium of memoir in his work. He delivers some flowers to his wife, who is the great pleasure of life and the subject of love. In his joyfulness canvas, be full of "good health laugh, vitality, cheerfulness" there is no discord in everyday life. His work looks like the best example of the family matter. His family story seems the ending of fairy tales, "They lived happily forever."
Hong Insook features the memory of her family through family-self-portrait. Her fragmentary memories and personal stuffs connected with family remind the viewers memoir and association of their family. Filing up with lines and colors on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her working process is reminiscent of memories. Layered paper, putting more lines and color into prints, memoirs of family are the same. Marginal space of the canvas produces an echo.
Like her saying, "I wish people were uncomfortable looking at my painting in showing room.", reminding of his or her old times and displaying personal story might be uneasy. As if we read the old times unfolding the photo album, her painting make the viewers to recall her mind.
Flowers are appeared in her painting. The objects which has recognized under the tradition and the experience actually have a system that has the symbolic meaning. Flowers are always a big welcome. But they have a set of rules according to the occasion : carnations on Teachers Day or Parents Day in a token of thanks; chrysanthemum express the sorrow over the death; roses for the love confession, it depends on the situation. Peony and chrysanthemum is the symbol of family memoir.
Her story starts with peony. Wearing a white dress she is weeping secretly with holding her hands. In , she refers home as a memoir of the family. Her story, therefore, ruminates how she lives. She goes back to the past through peony. Her calm weeping represents she endures sorrow in her mind so that it seems more painful. Peony,... old picture frame inlaid of pearl- it was originally not picture frame. The old flapped door from which it comes the furniture of her mother's wedding ceremony encloses weeping her. In this painting, picture frame refers her mother and the time with her.
Started with peony as a guide, she goes back to the childhood days. Father is carrying his little daughter, she is holding a peony. Though peony traditionally means wealth and prosperity, it works as a medium to recall the memoir of the family and connect her to the past. For grand mother it was a thankful flower to support her children; it enable her to feel granny.
我父地 is pronounced in ABuJi, it refers a father. She transcribes it 我父地, an organized word. A alphabet painting describes the meaning of letters borrowed a form of painting, whereas her alphabet painting add meaning to it by loaning some letters. shows relationship of the family. Father, his first child, 'I', who is also the first sister to brothers, has been becoming a living source of life and the earth, which is the origin of life. This is the picture of living family tree which draw a real question about the origin of it.
I live with my father, who gave me life. My father is dependent on 'me', who had a first birthday party held in his arm, because I am all grown up. Daddy and I are riding a rocking horse. He fixes his eyes on the front, where have to go, holding a gripe in his one hand, a stick in another hand. She holds tightly daddy's side leaning against his back, but she supports him with smiling. Her smile does not look bright. The spring parts that hold out the rocking horse seems so unreliable. Does life seem so far away. I am not independent by myself, nor father be alone. Old father and grown up daughter, she does not a little baby any more now, but his companion.
The eldest sister, who rode a horse with daddy before, cries by herself. There is a white mum, a crying woman whose body is drooped with white ribbon on head. Yellow mum that she prayed for father's get well substitutes to white one. White mum and ribbon designate death. For her father has departed at last, she sobbed her heart out at this time. She weeps bitterly. Old depressed feeling sweeps away in her crying. And, again she is sobbing with her head drooped. If you followed the flow of tear, you can find a letter that made of white mum. Tears make white mum, white mums make a letter that signifies tear. Once more, letters remind the meaning. Blowing up the tears in a letter, her sorrow was at anchor. White bird weeping tears of blood signifies her quiet deep sorrow. White mum in candlestick, the white bird that was staying in the letter bites a white mum ,and then it is flying over the candlestick. The white mum made of my tears, it will be ever in my memory.
Park Youngsun set a new time by reorganizing specific events and every routine day of our neighborhood. Her way of seeing is always settled. She steals a look the others's daily life at the fixed location. Her way of seeing is voyeuristic. She looks into the others's life so that it belongs to her. She draws specific objects and surroundings with a contemplating view and sets a behaviour range. More synchronic, repetitive monitor, created by flash animation than fragmented images uncovers our daily life and gives something "unusual" meaning that may be "nothing special".
The artist stares at others life, and we look at the orchestrated others. Her depicted world is full of private stories. The selected, concrete images are adapted to some pieces of short story by her. Reading others's life needs an objective view.
Her way of staring points at the our neighborhood.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see the leaning against wall to wall, the houses with low leveled stone wall. The walls are getting higher and various security system has been established. We have minimized to contact with others in apartment building, though it does not have wall at all, like square box. Even though we are stil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 attempt to take down the walls so as to have a better communication, a public faith. In the course of this attempt her figures depicted neighborhood with simple lines look so striking and friendly.
is the story about her house and the surroundings. In the same place the stories are unfolding as to suitable for the time of year. In view of the looking at others, the artist and we are at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The artist, however, has two different stand point: he wants to intervening in order to lead the situation; only look at it. Figures on arranged monitor continuously transfer the view point of our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movement the viewers's moving view point can see their daily life. What we see the animated monitor is not like reading letters; it makes impossible to pause a while for reviewing, because the seers become passive as to the characters. It includes spacing monitor, condensing some amount of time, transferring the place and viewpoint, synchronizing plural narratives. Looking at this point, what we see the animated monitor needs a lot of active mental labour. (John A. walker Sahra parker, translated Limsan, Visual Culture, Rubybox, 2004 p.206)
People appeared in do not care about each other. They just pay attention on their business. From time to time there is a stealing glance at the passing girl, most people are working hard in their sector. Objects appeared on this do not care others either. In , people are weeding and the dog is busy on his business. As often we imagine that such things, the dog running after the owner or the butterfly, never happen to there. In this case, butterfly just flaps it's wings, it never flutter flower to flower. Even though the behaviour of characters are lasting, such things-weeding, flapping, dog's walking- are repetitive. is just alike. Digging and moving the dirt, blown away the dead leaves are over and over again.
Soecheon construction site is in the middle of developing a new town. This is the place where so many wild animals were lived in hill at one time. By the way, they might expelled from their grounds. Human beings attempts for better life will be a threaten to other species. We may wonder this is what really we are.
Park Youngsun and Lee Youngbin have in common that they depict daily life in a bird eye view. While Park Youngsun focuses others's daily life on the time of the year in the same place, Lee Youngbin depicts where he lives from various standpoint. Whereas Park Youngsun illuminates the exterior of our neighborhood, Lee Youngbin depicts inner space of the public site.
Absorbed in the inner space means that the spiritual has been his concern, and his work focused on the inner thing starts in blind letters and blinding drawing. He enormously pays attention to his sharp sense of fingertips. On monitor, there is full of the repetition of phrase, "My inner self-portraits". His muttering, which is transferred to the margin space is about uneasiness to the world. Muttering is the state of ecstasy to himself. While busy schedule affects everyday life, this is the recess to which we can pay attention ourselves.
Lee Youngbin depicts the sensibility in public space. This is to look back each day like diary and hold the memory tightly. As time goes by the diary becomes my record, the very moment out of ever long lasting time like photographic image. To record the moment, read it, and seeing or reading may be the halt, in other words, recess.
What he want to represent is the happenings the inside of public space. It can be found that public space in itself various kind of happenings inside of them and including showcase of E mart, inside of public bath and inn. His paintings have a formality of air view, and it shows that he want to be a impartial observer, not be direct intervention. Borrowing the picture dairy form he reveals, however, secretly that it is his routine. Unless we see the picture of it, we do not ascertain what this is his real story. Because there is not found some special story in the writing column. It is barely mentioned about the routine. There is a repetition of "It's raining" and some information about the work. As most phrases in his painting are muttering, you can see the repetition of muttering. Vague murmur is talking to himself or herself, not to inform to others. On the contrary, it is the secret mind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by others; it would be the unconscious utterance.
What he depicts is the practical, spiritual exercise that is disguised crowdedness in daily life. There is private room even in public space: public bath for cleaning the physical dirty; Yoga class for the spiritual calm; cheap tourist inn for recovering from the fatigue. People wash the dust away in the naked feel at ease, and shake the dust of their mind. He examines the public bath on which people can strut in naked. He also unfolds the behaviour of naked people in bath where people are more comfortable than full dressed in the street. People only pay attention to themselves here. Washing the dust out would be compared to the training of the mind, as the artist says, "Drawing a picture is the training of the mind, and washing myself off is as same as practice the self-discipline". We do not notice our body until we are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of the mind. It is natural to be nude here. Naked is strange thing in other place; here, wearing a clothes are weird. A matter of course become the weird, strange thing to be natural, the other way round is possible here. Casting away superfluity of the body and the mind, that is the very thing to pay attention to me. Likewise a diary his painting is a record of daily life with the birds-eyed view and makes to retrospect of myself in public space.
Park Younggyun presents a deviation from the custom and private space for salaried man. We can see the desire of breaking rule, departure from the usual through the class of 86 out of 386 generation Mr. Kim, being a assistant deputy manager, who wants to sing loudly in Karaoke and occasionally be a women. Deputy manager Kim is the typical person in our society. He leaves himself as the trend goes by. He has on occasion tried to get out of the routine muttering the dream of the school-day. As it has seen in the copy, "Hard worker! You deserve to leave", he extremely works hard to leave, or dream of future recess without the present rest, the actualization of his idea. Daily life of Kim, however, looks so sad, cynical and unstable, for his dream has been given up and hidden somewhere in his mind. Mr. Kim, who wants once in a while to be a woman wearing a skirt, stuck the flower in his hair, but he actually wear a white dress shirt and tie tightly, tries to take a rest . He cross over the fence very risky balancing himself on legs as if he walk across over the stepping stone. He looks like one of our contemporaries who have stuck in the concrete building and survive critically. Besides, the fence under his feet seems a block of building so that he performs acrobatic between the buildings. In he sings a song with a passion, and a lingerie woman is shown on the screen. In the middle of extreme excitement and fever of drinking bout he reminds the glory(?) of his past. At this scene it shows his amount of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It seems that who wants to free from social bondage, the class of 86, Deputy manager Kim settled in regulated social frame. There is a sound echoed around reading a diary about plump soft sofa. On his monitor the plump, rounded sofa looks so relaxed, comfortable. As a living necessaries of modern times, most houses have sofa, which take up the best place in living room, as if it would be a owner. Our contemporaries like to sit on sofa whenever they take a rest, watch TV, or whatever they do. While our visual ability is poisoned by TV, sofa has a toxic effect on our body. It is occupied such important place as if it should be, not a need. The softness of sofa is disguised of the ease gives feeling languid. A empty couch and bed designate official object of 'Recess'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 is standardized. We have dreamed of momentarily 'Recess' through these things. However, vivid color, slim line and touch, blocked blue pillar represents that his rest does not make him relaxed. He gets way from the hectic life and squats down at balcony, the very private space. In his eyes are fell on somebody squatting down with the outward scenery in the background. Like potted plant next to him, he might have wished for sunshine of the day, watering. There is a new additional symptom to the contemporaries; sunshine deficiency syndrome. He is sitting low to cure 'sunshine deficiency syndrome' like plants which needs light to photosynthesize, as if it has to compensate for his faint face, confined to grayish building. He is going red like plants getting greener because of light. Poor green plant can be said a unstable nature in artificially designed environment. His situation is pretty tough-and-go in this environment. He takes an easy pose and sunbath wearing a undershirts and slippers, squatting down in his independent space. As though it looks so easy, his face turns extremely in red, for a ever lasting sunbath makes him very uncomfortable, that he can not hold out no longer. He is used to dream of the outdoors scene, it does not easy of him any longer. It, therefore, means that recess from reality does not exist any more.
While Park Younggyun is balancing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Seo Eunae leads daringly a new life. Her painting shows two types of the style : the combination of poem, calligraphy, painting of traditional landscape; folk painting. Landscape painting is not only meant to having affinity to nature, desire for returning to nature, but to find the ultimate principle of life, the essence of living with nature. In modern society, where people can not enjoy nature, instead, it has damaged and hurted, filled with grayish buildings; she creates bold landscape and utopia waving her traditional clothes to leave a way to stifling life.
As a narrator, she tells the story in traditional canvas standing at the boarder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idea and the reality. Her action represent the modern contemporary. She unfolds the story on assumption that if I were somebody "I would~". Adapting a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folk painting, she recites a poem, enjoys the elegant entertainment. There is musical entertainment, which doubles the amusement of viewers, in her title.
She is holding a brush with audacious smile in the evening glow. she does not appreciate the scenic beauty, but dare to draw a landscape painting of creative instinct to her own taste. Traditional korean scholar, Seonbi, enjoyed higher level of culture, remote from people, whereas, the artist becomes Seonbi who is singing Trot whose words harmonizes very well in traditional canvas. She plays electric Geomungo, it's sound came from speakers is reverberated through the whole. The lyrics of the Trot song of , are well harmonized in the canvas and read like poetic words that originally has to be there. Even though it is not produced by songs, it is conceivable that it becomes a song only in imagination. Her painting has a same image that of wearing a traditional Hanbok performs a rap. It links the traditional way of entertainment to the modern contemporary sentiment. As there is a saying that, "Traditional entertainment had to have a fun, however, it had an attitude of exploring the mind and the ultimate cause and then finally get an essence of the world.", (Shin Eunkyoung, Korean Traditional Entertainment, BoGo Sa, 2003) she represents her dream that happiness, anger, love, enjoyment of life will be come true through the traditional entertainment in imaginary canvas. Such behaviour- boating on river, appreciation of the scene, playing the korean flute, having a tea time- might be a state of ecstasy, immersed into the surroundings. Without hesitation followed the flow of water, relish the tea, dwell on each music and absorbed in it is the traditional way of entertainment. Finally, she realizes true meaning of life, actualizes it showing herself up in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 .
Visualization of what the real people have dreamed have succeeded in that she becomes a main character to create the world through the traditional canvas. Traditional style, narrator of the painting of I, what the narrator depicts is the world is that the past, present, future, or the reality and the fantasy has been melted in one canvas. As her utopia comes from the real life, her work moves us to sympathize and gives dreamed satisfaction.
간이역-休
길들여진 일상, 잠시 쉬어가다
현대는 첨단화를 지향하고 잘살기 위해 몸부림 중이다. 앞서나감의 척도는 속도이다. 고속철도의 보급으로 기차가 정차하는 역이 적어지고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주변의 경관마저 무시되어 시각적 여유마저 잃어가고 있다. 건물의 창문은 점점 작아지고 큰 창문이더라도 외부 공기와 차단된 밀폐식이다. 이런 환경은 현대사회의 구성원인 보통 사람들의 생활을 단조롭게 만든다. 또한 사람들도 현대적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며 점점 그것에 익숙해지고 있다. 낯선 길을 갈 때 우리는 그 길을 기억하기 위해 주변 경관을 유심히 살핀다. 그러나 그 길이 익숙해지면 처음의 느림은 점점 더 빨라지며 주변에 무심하게 된다. 이처럼 우리는 자신의 일상에 익숙해져 쉬어감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인간극장이란 TV프로그램에서 산골소녀의 일상을 보여준 적이 있었다. 방학을 맞이하여 짠 그 소녀의 시간표에는 공부시간이 고작 20분, 모든 것이 TV보는 것과 노는 시간이 전부였다. 그는 왜 공부하는 시간이 20분밖에 안되느냐는 질문에 "그거면 충분해요..."라고 너무나 당연하게 얘기했다. 다른 아이들과는 달리 그에게 공부는 20분만 하면 되는 것이었고 노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했고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도 이 소녀처럼, 방학을 맞이하는 학생처럼 자신만의 시간표를 한번 짜보자! 우리 하루의 삶 중 가장 비중있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하루의 안식을 위해 공인된 수면조차 다음 날의 삶을 위한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방학시간표를 짜듯 시간을 정해놓은 것만이 우리가 허용하는 쉼인가. 현대인은 쉼을 원하지만 그 쉼을 통해 자신이 현대의 흐름에서 뒤쳐진다는 암묵적인 압박에 시달린다. 쉼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요건이다. 계절도 다른 계절로 넘어가기 위해 쉼을 가진다. 모든 사물들이 변화나 흐름에 익숙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 앞으로 나가는 것만 쫓을 것이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잠시 멈추고 가끔은 걸어온 길을 뒤돌아보는 것이 이제는 필요하다.
간이역은 일상에서의 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간이역은 일반역과는 달리 역무원이 없고 정차만 하는 역을 말한다. 간이역은 그 역을 지나는 모든 기차들에게 멈춤을 강요하지 않는다. 어떤 것은 스쳐지나가고 어떤 것은 일시적으로 멈춘다. 속도가 경쟁력인 현대에 간이역은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는 공간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바쁜 일상을 사는 이에게 이 공간은 불편하고 불필요한 공간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짧은 멈춤의 공간, 멈춤의 시간은 주변을 돌아볼 수 있게, 기차를 타고 있는 이에게 기차와 함께 쉼의 시간을 가지게 한다.
간이역은 잠시 쉬어가는 곳이다. 그곳은 여기도 저기도 아니지만 여기와 저기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가 맞닿는 곳이며 시간을 거스르는 곳이며 현재가 머무르는 시간이다. 이 전시에서 간이역은 물리적 공간(공원, 휴게소, 집, 소파 등)과 감성적 공간(가족, 정(情), 꿈, 휴식, 상상을 통한 현실의 이탈 등)을 아우르는 의미이다. 통제하는 이도 통제받는 이도 없는 간이역. 그곳에서 쉬어가듯, 이 공간에서는 일상 속에서 누구의 시선에도 통제받지 않는 자신의 의지에 맡겨 잠시 쉬어가자.
문장에서 쉼표는 호흡을 한번 쉬어가는 여유를 준다. 우리의 생활에서도 이런 '쉼표'의 순간들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짬짬이 쉬어가는, 무심히 지나치는 순간이나 잠시 꿈꾸는 순간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들을 이미지화시킨 가시적 공간들을 통해 우리의 일상을 되돌아보자.
이 전시는 내가 일상을 누리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일상이 우리는 지배하고 있는 현시대에 일상을 쪼개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일상 속에서 항상 움직여야 하는 진행형이 아닌 쉼표처럼 '쉼'의 지점과 '쉼'의 시간을 찾아가는 전시이다. 우리 일상에서 쉼의 여유를 느끼는 공간과 시간은 언제인가. 산책길을 거닐거나 차를 마시는 것, 벤치에 앉아 다리의 피곤함을 뉘이는 것 등이 일반적인 쉼의 공간이며 쉼의 시간일 것이다. 이 전시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식된 쉼이나 여유를 형상화한 작품도 볼 수 있지만 일반적이 아닌, 쉼을 가장한 불편함을 통해 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작품도 있다. 우리는 화폭 속의 생활세계의 풍경을 보며 나의 일상을 되짚어보는 생각의 시간을 갖게 되고 빨리빨리 살고자 하는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의 잠시 쉴 수 있는, 몸(육체적 여유) 뿐 아니라 정신적 여유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보게 된다. 작가들은 보통 사람들이 달력의 빨간 날을 세며 삶의 쉼을 꿈꾸듯, 일상의 끄적거림과 같은 무의식적 낙서를 통해 생각의 쉼을 주듯, 일상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休의 공간, 개인적인 休의 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자리잡은 休의 공간 등 물리적․감성적 공간을 제시함으로써 쉼을 보여준다. 각각 다른 시선으로 자신의 일상세계를 소재로 한 6명의 작가들의 가시화된 공간을 통해 익숙해진 일상을 되돌아보고 일상에서의 '쉼'의 지점를 찾아보자. 이 공간에서 '잠시 꺼 두셔도 좋습니다'라는 광고문구처럼 바쁜 일상은 잠시 접어두고 타인의 일상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면서 나의 삶과 나의 감정의 여유를 느껴보자!
관음적 시선-타자의 일상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들여다보다
현대의 사회상을 가장 밀접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마도 광고일 것이다. 그 중 情을 컨셉으로 한 초코파이 광고를 생각해보자. 이 시리즈는 정이라는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면에 호소하며 다양한 계층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정" 시리즈에서 테마로 잡은 것은 일상이다. 이사오는 날, 건널목 아저씨, 집배원 아저씨, 여름 원두막, 학교 가는 날 등.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았을, 그리고 겪었을 일들이 펼쳐진다. 이러한 것은 영화에서도 미술에서도 인간적인 것을 소재로, 일상적인 것을 소재로 하는 내용이 많아지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일상으로의 관심은 일상이 '우리'의 공통 소재이기에 친밀도를 높인다. 보통사람임을 외치는 것도, 대중을 소비의 주체로 삼고 있는 상품을 위한 광고가 일상적, 가정적, 자연적인 것을 소재로 삼는 것도 '우리'라는 공동그룹이 관심을 가지고 경험한 것이라는 공통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상적인 것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일상에 대한 관심은 특별한 것은 아니다. 17세기 네덜란드 시기에 사회적 변화(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칼뱅주의, 개인주의 등)로 사람들은 "자신"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 관심을 가졌다. 조선시대에도 근대적 사회를 지향하려는 경향과 근대적 인간주의의 발현으로 서민의 삶과 일상을 그린 풍속화가 유행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일상세계를 소재로 하여 대중과의 공통성을 꾀하는 작품들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일상적 삶에 가상적인 것(현실과 괴리된 개념적 세계)을 보태거나 빼지 않은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곳, 즉 현실적인 것을 바탕으로 하기에 너와 나의 다름이 아닌 우리라는 공통성을 가지게 한다.
이 전시의 초점도 일상세계로 잡혀있다. 일상세계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처럼 뚜렷하게 잡히지는 않지만 항상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바라보는 것은 타인의 일상이다. 작가의 일상, 주변의 일상 그리고 작가가 바라보고 느낀 일상이다. 타인의 일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객관적이고 관음적이다. "눈이 하는 관찰은 신체적인 행위로 번역되는데, 이때 매체 고유의 도구와 서재가 이용되어 화상畵像을 구성하고 구축하게 된다. 예술가의 경험적인 관찰은 자신이 살았던 모든 역사와 인격에 의해, 이전에 쌓았던 수련과 과거 예술에 대한 지식에 의해 그 깊이가 더해질 것이다."(비주얼 컬쳐, 존 A. 워커․사라 채플린, 임산 옮김, 2004, 루비박스)라고 언급했듯, 경험적인 관찰과 그것을 통한 화면구축은 관람자에게도 경험과 지식의 통합을 통한 이해와 감상을 부추긴다. 그려진 화면을 보는 것은 문자를 읽어 상황을 상상하고 의미를 재독해하는 것과는 달리 이미지를 보고 즉각적으로 상황을 이해한다. 그러나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자신의 생활과 경험을 상기하듯 그림 화면을 통해서도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대리경험과 대리 감정을 느끼게 된다.
김덕기Kim Dukki
우리의 일상은 나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관계로 전개된다. 그 중 가족은 우리라는 한 울타리로 엮게 되는 친밀한 그룹이다. 우리가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일반적임과 동시에 특별하다. 현대사회가 개인주의화되면서 새로운 가족주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예전의 대가족 제도하에서의 현상과는 달리 핵가족화된 사회에서 개인주의와 겹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것은 현대문물이 '섬'화(고립화) 되는 현상 속에서 '우리'라는 가족그룹이 주는 동질감에 대한 안도감이 가져다주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김덕기는 이런 가족주의 현상을 시각화 한다. 그는 가족 중심으로 펼쳐진 따사로운 이야기들을 기록하며 이 가족 이야기는 작가의 이야기지만 우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의 그림은 글과 함께 한다. 그림 속 공간에 함께 들어앉는 것이 아니라 그림 옆에 부가적인 요소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림의 이미지적 즉각성, 텍스트의 재해독과 더불어 그림을 해독하여 공감을 유발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그의 작품은 웃음소리와 가족과 집 시리즈로 펼쳐진다. 그는 오늘의 일상을 직접적이고 즐겁고 가볍게 바라보며 삶의 여정을 표현한다. 그의 그림을 보면 인생은 즐겁기만 한 것처럼 보인다. 바탕칠을 하고 마르기 전 다른 색을 올려 밑 색이 우러나게 하는 것, 그리고 파스텔과 크레용, 먹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 그러한 재료들을 한지 위에 올리는 것 등은 내가 살고 있는 지금 이곳이 하나의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가 함께하고 그 시간들이 겹쳐 현재가 있게 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러 공간의 공존을 의미한다. 그의 그림 속에서도 시간은 공존한다. <웃음소리-봄․여름․가을․겨울>은 가족과 함께한 시간을 화폭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담은 작품이다. 겹쳐진 형상을 통해, 짙고 옅음으로 인해 그는 시간의 경과와 추억의 간극을 담아낸다. 여행 수필처럼 그 계절마다 즐겼던 가족과의 문화를, 추억을 담아낸다.
가족을 한 울타리에 묶는 것은 집이다. 집은 영어로 Home과 House로 표기된다. House가 집의 외면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Home은 감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의미에서 집은 외면적인 집의 형태와 그 속에 있는 구성원인 가족, 그리고 그들을 함께 묶는 감정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그의 집은 House와 Home이 합쳐진 것이지만 Home의 의미가 더 강하다. 그의 작품 곳곳에 나타나는 집들은 서로가 서로를 맞대고 있는 형상이다. 이웃과 이웃이 맞닿아 형성되는 집과 동네는 놀이기구의 일종인 정글짐 같은 형태를 이룬다. 그 속에서 각각의 모습은 정겨운 모습이다. 그러나 정글짐이 선들로 연결된 놀이기구로 재미와 더불어 서툰 발 디딤으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지니고 있듯 서로가 서로를 맞대고 살고 있는 모습에서 그들이 가진 행복의 아스라함과 아슬함을 느끼게 된다.
그에게 꽃은 사랑을 전달하고 기념하는 매개체이다. 나의 생의 기쁨이고 사랑의 주체인 아내에게 그는 꽃으로 사랑을 전한다. "웃음만발, 생기발랄, 행복가득"등 경쾌함이 넘치는 그의 화면에는 일상사의 불협화음은 없다. 집, 우리 동네 등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사랑, 가족 등 감성적 공간까지 담아내는 그는 가족에 대한 모범답안을 제시하는 듯 보인다. 김덕기의 가족이야기는 동화책에서의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라는 결말처럼 동화적이다.
홍인숙Hong Insook
홍인숙은 가족 자화상을 통해 자신의 가족에 대한 기억을 담아낸다. 화면에 표현된 가족과의 추억의 단편들과 개인적인 추억의 사물들은 우리 자신의 추억과 사물을 연상케 하여 기억의 끝자락을 끌어낸다. 한지 위에 선과 색을 올리는 그의 작업 과정은 추억과도 같은 빛깔을 띤다. 겹겹이 올려진 한지와 선과 색이 하나씩 덧붙여지는 판화, 삶의 흔적이 층층이 쌓이는 추억은 서로 닮은꼴이다. 화면에서 여백은 추억에 대한 울림의 공간으로 보인다.
'전시공간에서 그림을 불편하게 보았으면 좋겠다'는 그의 말처럼 어쩌면 추억을 들쳐보는 것, 자신의 이야기를 드러내는 것은 불편한 일일 것이다. 앨범을 펼쳐 지나간 시간을 읽어가듯 우리는 그의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며 지나간 시간을 읽어본다.
그의 그림에는 꽃들이 등장한다. 일상 속에서 경험과 전통의 관념 하에 인식된 사물들은 나름의 체계를 지닌다. 그것은 보편화된 상징성을 가지게 된다. 그 중 꽃은 어느 곳에서나, 언제나 환영받는 존재가 된다. 그러한 꽃들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리 요구된다. 어버이날이나 스승의 날에는 감사의 꽃 카네이션, 죽음을 애도할 때에는 국화, 사랑을 고백할 때는 장미 등. 그것도 색깔에 따라 다르다. 홍인숙의 그림에서는 목단과 국화가 그의 가족과 추억의 상징물이 된다.
그의 이야기는 목단으로부터 시작된다. 목단이 피어있는 곳에서 그는 흰옷을 입고 다소곳이 두 손을 모으고 눈물을 흘린다. <귀가도>라는 작품이다. 귀가도(歸家圖)는 집으로 돌아감이다. 그에게 집은 가족과의 추억이 담긴 대상이다. 그의 이야기는 가족과의 세월새김으로 그는 돌아온 길을 되돌아보며 되새김을 한다. 목단을 통해 과거로 들어간다. 다소곳한 그의 눈물은 아픔을 속으로 되뇌이는 듯하여 더욱 가슴 아픈 눈물로 다가온다. 그리고 목단...그리고 세월의 손때가 묻은 자개 액자...자개액자는 원래부터 액자는 아니었다. 어머니가 시집올 때 가져온 가구의 자개문짝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 그를 감싼다. 여기서 자개액자는 그의 어머니,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한 삶을 의미한다.
목단을 길잡이로 작가의 어린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버지가 딸을 안고 그 딸은 목단을 잡고 있다. 목단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부귀영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에게 그것은 가족과의 추억을 연상하게 하는 매개체이며 과거와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이다. 할머니에게 그것은 자식을 뒷바라지하게 한 고마운 꽃이고 그에게 그것은 할머니의 손길을 느끼게 하고 어린시절을 회상하게 하는 매개체이다.
我父地.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아부지이다. 통상적으로 이 말은 자기 아버지를 일컫는다. 아부지를 그는 我父地로 표기한다. 기존의 단어로 조합어를 만든다. 문자도가 그림의 형상을 빌어 그 문자의 뜻을 전한다고 한다면 홍인숙의 문자는 문자자체를 빌어 그림에 뜻을 더한다. <큰누나-我父地>는 生의 관계를 보여준다. 아버지의 자식 중 큰 딸인 '나'와 아버지, 동생들에게 큰누나인 나와 아버지, 그리고 땅. 땅은 태초부터 모든 만물 태생의 근원이며 아버지는 집안의 큰누나인 나의 근원이다. 이 그림은 단순히 큰누나인 나와 아버지가 아니라 근원에 대한 물음을 제시한다. 생계도(生系圖)를 나타내는 것이다.
나를 있게 한 아부지와 이제는 삶을 함께 한다. 아버지에게 안겨 생의 첫출발인 기념(돐)사진을 찍은 나는 이제 커서 아버지의 의지처가 된다. 나와 아버지가 목마를 타고 있다. 한손에는 목마의 손잡이를 다른 한손에는 막대기를 잡고 있는 작가의 아버지는 앞을 보고 갈 길을 주시한다. 작가는 아버지의 허리를 잡고 아버지에게 의지한 채, 아니 아버지의 의지처가 되어 웃고 있다. 그 웃음은 그리 밝아보이지는 않는다. 목마를 지탱하고 있는 스프링도 튼튼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삶의 '아스라함'을 보여주는 것일까. 그 속에서 나의 존재가 '나만'이라는 독립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도 혼자가 아니라 나와 아버지가 함께 한다.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든 아버지와 함께 하는 큰 딸. 그녀는 이제 어린 자식이 아닌 동반자이다.
아빠와 함께 달리던 큰누나는 혼자서 눈물을 흘린다. 몸을 늘어뜨린 채 울고 있는 그녀 아래 흰 국화가 있고 머리에는 흰색 리본이 꽂혀있다. 아버지의 건강을 기원하던 노란 국화는 흰 국화로 대체되었다. 흰 국화와 머리의 흰색 리본은 사회적 통념상 죽음을 연상시킨다. 이제 아버지를 떠나보낸 큰누나는 눈물을 흘린다. 몸을 큰 대자로 놓고 크게 운다. 크게 울어버림으로 이제는 묵혔던 감정을 풀어버린다. 몸을 다소곳이 한 채 눈물을 흘린다. 눈물의 흐름을 따라 시선을 두면 흰 국화로 만들어진 눈물 루(淚)가 보인다. 눈물은 흰 국화를 만들고 흰 국화는 淚자를 만든다. 문자로 한 번 더 의미를 되새김질한다. 눈물을 쏟아냄으로, 淚자라는 문자로 그의 슬픔은 닻을 내린다.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흰 새는 다소곳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 그의 슬픔을 대변한다. 촛대에서 초를 대신하는 흰 국화 그리고 淚자 속에 있던 그 새는 흰 국화를 물고 촛대 위를 날고 있다. 나의 눈물로 이루어진 흰 국화, 그것은 나의 눈물을 담아 추억 속에서 불로장수한다.
박영선Park Youngsun
박영선은 우리 동네의 일상, 지나간 경험이나 특정한 일상을 재조립하여 새로운 시간을 설정한다. 작가의 시선은 일정한 위치에 있다. 그는 그 위치에서 동네 사람들의 일상을 훔쳐본다. 이러한 시선은 관음적이다. 자신의 눈으로 타자의 삶을 응시함으로 타자의 삶을 자신의 삶에 귀속시킨다. 박영선은 관조적인 시선을 통해 선택된 하나하나의 사물과 배경을 그려 그것을 재배치하여 행동반경도 설정한다. 이미지로 단편화된 것이 아니라 플래쉬 애니메이션으로 동시성으로 반복되는 화면은 반복되는 우리의 일상을 보여준다. 관조적으로 혹은 관음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타인의 일상은 재연출되어 '별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을 '별것'으로 보이게 한다.
작가는 타인의 일상을 관찰하고 우리는 작가가 연출한 타인(동네사람들)의 일상을 본다. 그가 풀어내는 일상은 수필처럼 신변잡기로 가득하다. 그러나 선택된 이미지는 작가에 의해 각색되어 마치 소설구절처럼 소소한 이야깃거리이며 구체적이다. 타인의 삶을 읽어간다는 것은 주관성이 배재된 객관적인 시각을 부여하게 한다.
박영선의 시선은 우리 동네를 향하고 있다. 하나의 담을 맞대고, 낮은 돌담을 경계로 자리잡았던 우리의 가옥들과 동네모습이 이제 점점 사라지고 있다. 담은 점점 높아지고 경보등에 창살까지 설치하고 있다. 담이 없더라도 네모난 상자처럼 생긴 현대식 가옥인 아파트에 삶으로써 사람들은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삭막해져가는 현대화의 물결 속에서 이제는 담장 허물기 운동과 같은 사회적 움직임이 이웃과의 단촐함의, 믿음의 사회를, 소통의 사회를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일까? 그러한 흐름 속에서 박영선의 우리동네 모습은 새롭고도 친밀하다. 작가는 동네사람들의 일상을 관찰한다. 담백한 선으로 그려진 형상들은 '동네'라는 단어가 주는 것처럼 소박하다.
<우리동네-사계절>은 그의 집과 그, 그리고 그의 주변 사람들이 함께하는 동네이야기이다. 그리고 <잡초뽑기>는 우리동네 중 자신의 집 마당을 근거리에서 잡은 작품이다. 같은 장소에서 계절을 달리하여 진행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나비가 날고 사람들이 봄맞이 대청소를 하는 봄, 미니스커트를 입고 지나가는 아가씨와 수영을 하고 오는 여름, 낙엽을 치우는 가을, 눈이 오고 그 눈에 미끄러지는 겨울 등 그 계절의 특징적인 일들이 펼쳐진다. 타인의 일상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작가와 우리는 관찰자적 시점에 있다. 그러나 작가는 그곳에 개입하여 상황을 이끌어간다는 입장에서 관찰자 시점과 주인공 시점을 동시에 가진다. 연출된 화면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관객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들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관객의 시선은 그들의 일상을 본다. 움직이는 화면을 보는 것은 문자를 읽는 것과는 달리 생각의 틈을 주지 않고 책을 읽을 때 재독해를 위해 잠시 멈추는 행위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보는 사람은 등장인물에 의지하며 수동적인 입장이 된다. 그러나 화상은 장면의 간격, 시간의 압축, 장소나 시점의 이동, 복수의 내러티브의 동시 진행 등을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움직이는 화면을 보는 행위는 능동적인 심적 노동을 필요로 한다. (비주얼 컬쳐, 존 A. 워커․사라 채플린, 임산 옮김, 2004, 루비박스 p.206)
<우리동네-사계절>에 출연하는 동네사람들은 서로에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서로 각자의 일에만 열중한다. 간혹 지나가는 아가씨를 훔쳐보는 아저씨의 시선도 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구역에서 자기 일에만 열중한다. 각각의 화면에 등장하는 인물과 동물들은 대부분 자기 일에만 열중한다. <잡초뽑기>의 잡초뽑는 사람은 잡초뽑기에만, 개도 자기행동에만 열중한다. 개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듯 날아가는 나비를 쫓는 등의 행동이나 주인을 따라다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는다. 나비도 날개 짓만 열심히 한다. 꽃의 향기를 맡거나 꽃에 앉거나 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그들의 행동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지만 잡초 뽑는 행동, 나비의 날개짓, 개의 걸음 등을 반복적이다. <서천공사장>도 마찬가지다. 낙엽의 흩날림도, 땅을 파고 흙을 나르고 하는 것들도 반복적이다.
개발이 한창인 서천 공사장은 현재의 모습이 변하게 되는 곳이다. 그 곳 뒷산에 호랑이와 이름모를 동물(여우나 다람쥐로 짐작되는 동물)이 어슬렁거리며 왔다 갔다 한다. 이제 그 동물들은 터전을 잃게 된다. 누군가가 더 잘 살기 위해 벌이는 행위가 다른 누군가의 생을 위협하는 모습.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의 모습이 아닐까.
이영빈Lee Youngbin
박영선과 이영빈은 부감법으로 일상을 그려낸다는 것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박영선이 자신과 동네 사람들의 일상을 일정한 곳에서 계절을 달리하여 보여줬다면(물론 서천공사장이나 잡초뽑기처럼 다른 장소를 바라본 것도 있지만) 이영빈은 자신이 생활한 곳, 즉 장소를 달리 하여 표현한다. 박영선이 우리 동네라는 외부 공간을 표현하였다면 이영빈은 대중 공간(이마트, 목욕탕, 강당 등) 중 내부 공간을 주로 표현한다.
내부공간에 몰두하는 것은 내면적인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며 내면적인 것에 비중을 두는 그의 작업은 눈먼 글씨와 눈먼 드로잉으로부터 시작한다. 손끝 감각에 모든 것을 집중한다. "나의 내면의 자화상"이라는 문구가 반복되어 화면에 가득하다. 여백에 옮겨진 작가의 중얼거림은 세상에서 자신이 가지게 되는 불안함을 담고 있다. 중얼거림은 자신에게 몰입하는 행위이다. 그것은 바쁘게 움직이는 생활 리듬에서 잠시나마 자신에게 몰입할 수 있는, 쉬어감의 행위이다.
이영빈은 대중공간에서의 느낌을 담는다. 그것은 일기처럼 하루를 돌아보고 기억을 붙잡는 것이다. 시간이 지난 뒤 일기는 나의 기록이 되며 사진 이미지처럼 일상이라는 긴 시간 중 찰나가 된다. 그 찰나를 기록하는 행위, 그리고 그것을 읽는 행위, 그리고 보고 있는 그 모든 행위들은 현재의 진행적인 현상에서 잠시의 멈춤, 즉 쉼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가 담는 것은 대중공간의 내부이다. 이마트의 진열공간, 목욕탕 안, 그리고 여관 안. 그 곳의 공간만을 담은 장면,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요지경이 그림 속에 등장한다. 그의 그림은 조감도와 같은 형식을 띠며 이는 작가가 관찰자 입장에서 보는 시선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는 그림일기장을 빌어 이것이 자신의 일상의 기록임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그의 그림이 자신의 생활의 기록이라는 것은 그림일기장에 그린 그림을 보지 않는다면 표현 내용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림 일기장에 그린 그림에서 그림일기의 글자를 적는 칸에 특별한 얘기는 없다. 일상적인 이야기의 언급도 드물다. "비가 오는 날"이라는 글귀만이 반복되거나 작품에 대한 정보만 있다. 그의 그림 전반에 나타나는 글귀들이 대부분 그의 중얼거림이듯 여기에서 보이는 것들도 중얼거림의 반복이다. 중얼거림은 혼자의 되새김이며 타인에게 알리고자 하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은연중에 자신의 뜻을 알아주길 바라는 맘이 숨어있기도 하다. 그것은 무의식적인 언급이기도 하다.
대중적 공간에서 펼쳐지는 그 일상은 번잡함을 가장한 수련의 일상이다. 육체의 더러움을 벗어내는 목욕탕, 정신의 혼란함을 벗어내는 요가강습소, 여행의 노곤함을 벗어 버리는 여인숙. 이곳은 대중적 공간이지만 자신만의 영역이 주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알몸으로 편안하게 찌든 더러움을 벗어내고 노곤함을 털어낸다. 생각의 군더더기를 벗어버린다. 작가는 알몸으로 이곳저곳을 마음껏 누빌 수 있는 목욕탕의 공간을 풀어낸다. 펼친 구도의 이 목욕탕은 사람들의 목욕탕에서의 행태도 펼쳐 보인다. 옷을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것보다 여기서 옷을 벗고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자유롭다. 이곳에서는 자신에게만 열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석구석 더러움을 씻어내는 행위는 수행하는 것과 비견된다. 작가는 "그림은 수행이고 그림을 그리는 것은 날 씻는 행위이며 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듯 이들은 자기 몸을 구석구석 닦음으로 수련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가 평소에는 지나쳐 버렸던 몸의 부분들은 이때서야 관심을 받고 수련 행위에 참여하게 된다. 여기서 벌거벗음을 당연한 것이다. 다른 곳에서의 벌거벗음이 낯설고 이상한 행위라면 여기서 옷을 입고 있음이 이상한 것이다. 당연한 것이 이상한 것이 되고 이상한 것이 당연시 되는 것, 여기서는 세상을 뒤집어보는 것이 가능하다. 육체와 정신의 군더더기를 버리는 것, 이것이야말로 자신에게 몰두하는 시간이 아닐까. 일기처럼 그의 그림은 자기 일상의 조감도이며 대중공간에서의 나를 돌아보게 한다.
박영균Park Younggyun
박영균은 개인적 공간과 샐러리맨의 상상적 일탈을 제시한다. 박영균의 그림을 통해 우리는 노래방에서 흠씬 소리를 지르고, 가끔 여자이고 싶은 386세대인 86학번 김대리를 통해 규정화된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샐러리맨의 일상탈출의 욕구를 본다. 김대리는 자본주의 사회의 전형적인 직장인이다. 그는 현대의 물결에 몸을 맡긴다. 가끔 그는 때때로 학창시절의 꿈을 되뇌이고 고된 일상을 탈출하고자 하기도 한다. 그러나 "열심히 일한 당신, 자 떠나라"라는 광고처럼 그는 떠나기 위해, 미래의 쉼을 위해 현실의 쉼을 외면한 채, 과거에 꿈꾸었던 이상은 접어둔 채 열심히 일한다. 그러나 예전의 이상은 가슴 한켠에 묻어두고 현실에 발 딛고 있는 김대리의 일상은 아슬하고 자조적이다. 머리에 꽃을 꽂고 가끔은 치마를 입은 여자이고 싶은, (그렇지만 여자의 일생에서 하나의 '틀'이 되어버린 밥하고 설거지 하는 티 안 나는 가정생활은 말고) 화이트칼라셔츠에 넥타이를 질끈 맨 전형적인 샐러리맨 차림의 김대리는 <꽃밭에서> 쉼을 꾀한다. 그는 징검다리를 건너듯 울타리 위를 아슬하게 <중심>을 잡으며 건너고 있다. 그의 발아래 있는 울타리는 마치 건물처럼 보이며 그는 건물 사이에서 곡예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모습은 마치 현대사회의 상징물인 건물 안에 구속되어 삶을 아슬하게 지탱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처럼 보인다. <86학번 김대리>는 '솔아솔아 푸르른 솔아'를 열창하고 있고 모니터에는 속옷차림을 한 여자의 모습이 나오고 있다. 한층 고조된 오락의 열기 속에서 잠시 찬란했던(?)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다. 이러한 화면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됨을 보여준다.
사회의 규정화된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86학번 김대리는 이제 현실의 규정화된 틀 속에서 안주한 듯 보인다. 살찐 소파에 대한 일기를 낭송하는 소리가 울려 퍼진다. 그의 화면 속에 살찐 소파의 부푼 몸뚱아리는 느긋해 보이며 한가로워 보인다. 소파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마치 자신이 집주인인양 명당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인은 쉼을 원할 때나 TV를 볼 때나 그 외의 일을 할 때도 그 소파에 앉기를 원한다. TV가 시각을 중독시킨다면 소파는 몸을 중독시킨다. 원하기보다는 당연한 듯 그곳에 위치한다. 소파는 푹신함으로 안락함을 가장하고 나른함과 노곤함을 준다.
빈 소파와 침대 등은 현대인의 획일화된 공간에서 '쉼'에 대한 공식적 사물이다. 우리는 이 사물을 통해 잠시나마의 '쉼'을 꿈꾼다. 그러나 발랄한 색과 가는 선과 터치, 그리고 구석진 곳에서의 알 수 없는 움직임의 흔적들은 쉼이 편안하지만은 않음을 말하는 것 같다. 실내에서의 번잡함을 탈출해 나만의 독립된 공간인 베란다에 쪼그리고 앉는다. <베란다에서> 바깥 풍경을 등지고 쪼그리고 앉아있는 그의 시선은 누군가를 향하고 있다. 옆에 놓인 화분처럼 그는 한낮의 햇살을 바라고, 한줄기의 물줄기를 바라고 있는 것일지도...현대인에게는 '햇볕결핍증후군'이라는 새로운 증상이 추가되었다. 회색건물에 갇혀 화색이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보상이라도 받는 듯 그는 웅크리고 앉아 '햇볕결핍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고 있다. 화분의 풀에 푸름을 더하듯 그는 점점 더 홍조를 띠어가고 있다. 애처롭기까지한 녹색식물은 인공 환경 속에 존재하는 아슬한 자연이다. 그 또한 인공 환경 속에서 아슬하게 존재하는 현대인이다. 그는 러닝셔츠에 슬리퍼를 신은 가장 편안한 차림으로 쪼그리고 앉아 독립된 공간 속에서 일광욕을 한다. 편안한 듯 보이지만 벌겋게 익어가는 그의 얼굴은 쪼그리고 앉은 불편한 자세와 과도한 일광욕으로 이제는 이곳에서의 쉼이 불편함을 의미하는 것 같다. 바깥의 풍경을 꿈꾸지만 그 풍경도 결코 편안해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현실에서의 그의 쉼은 결코 편안한 쉼은 아닌 것이다.
서은애Seo Eunae
박영균이 현실과 이상의 가운데서 곡예를 하고 있다면 서은애는 과감하게 새로운 세상을 영위한다. 그의 그림은 전통적인 산수화의 시, 서, 화가 어우린 형식이나 민화의 형식을 띤다. 산수화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친화력이나 자연회귀의 소망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삶의 본질을 발견하여 생의 이치를 깨닫게 하는 그림이다. 자연을 느끼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자연 대신 회색건물이 빡빡하게 채워지는 현대사회, 그는 이러한 사회에 숨통을 트이게끔 도포자락을 휘날리며 대담하게 산수를 만들고 무릉도원을 만든다.
그는 전통적인 화면 속에서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 현실과 이상 사이의 경계에서 1인칭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펼쳐간다. 그의 행동은 현대인을 대표한다. 자신을 통해 '아마도 이럴 것이다'라는 가정으로 그는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기존의 산수화와 민화 화폭에서 봄을 노래하고 풍류를 즐긴다. 그의 그림 제목에는 '띠리링', '산들산들', '홍홍홍', '닐리리'와 같은 여흥구가 함께한다. 그것은 보는 이에게 흥을 배가 시키는 역할을 한다.
노을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